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1. 저탄소 녹색성장의 핵심은 신재생에너지 활용
2. 신재생에너지의 핵심은 바이오
3. 바이오매스 자원량 추정과 활용 현황
4. 농림어업의 온실가스 배출과 바이오매스 활용
5. 저탄소정책은 바이오매스 활용에 중점을 두어야
〈요약〉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농업이 에너지산업이 될 것인가? EU의 경우
시선집중 GSnJ
2008 .06
저탄소 녹색성장과 전력에너지 패러다임
경남발전
2009 .08
녹색성장을 위한 에너지정책 방향
국토
2009 .01
음식물 쓰레기로 바이오매스 에너지 만들기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2 .12
미국 에너지 효율 규제의 문제점과 시사점에 관한 연구
법이론실무연구
2013 .04
농업ㆍ농촌 에너지 수급 및 정책 진단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2013 .12
韓國 綠色成長 科學技術政策 推進成果와 課題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2010 .04
에너지패러다임의 녹색전환 : 전력부문을 중심으로 한 사례분석
한국정치학회보
2000 .06
서울시 화석에너지 감축방안 : 녹색성장을 위한 Oil Free 전략 - 2008. 8. 21 제19호
정책리포트
2008 .08
에너지 효율성 분석을 이용한 ‘녹색성장과 환경’에 관한 교육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9 .12
저탄소 경제시스템 구축 전략 연구 : 경제ㆍ에너지ㆍ환경 통합정책 개발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2008 .12
건물에너지, 어떻게 줄일 것인가?
정책리포트
2010 .12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전략 연구(제3차년도)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2005 .12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4대강 살리기”의 방향
한국관광정책
2009 .03
지방정부의 녹색성장정책추진체계에 관한 연구 : 강원도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011 .11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과 지방정부의 과제
경남발전
2009 .08
경기도의 바이오매스 에너지 이용체계 구축방안
경기연구원 기본연구
2008 .11
신기후체제에 따른 중국의 신재생에너지정책 및 산업동향과 한·중 협력 방안
[KIEP] 연구보고서
2015 .12
바이오매스 순환단지 사업화 모델 연구
사회과학연구
2015 .12
지역에너지사업에 의한 에너지기술이전 정책 분석
정치정보연구
1999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