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우정헌 (건국대학교)
저널정보
한국대기환경학회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한국대기환경학회지 제25권 제6호
발행연도
2009.12
수록면
579 - 593 (15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Several fine particle-related policies in Northeast United States were investigated in support of the execution of special measures to improve air quality of Seoul Metropolitan Area (SMA). The definition of particulate matter (PM) in the Clean Air Act (CAA), components and procedures of Regional Haze Rule (RHR), and Air Quality Management (AQM) were reviewed. Several State Implementation Plans (SIPs) were also reviewed as the way to attain required air quality under the Clean Air Act. PM<SUB>2.5</SUB> attainment SIP of Maryland, 8-hr Ozone attainment SIP of New Jersey, and Regional Haze Rule attainment SIP of MANE-VU were analyzed in detail as case studies. We realized that “Special Measures for Air Quality Improvement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as many similarities with its US counterparts in terms of purpose, components, procedures, and implementation methods. US policies, however, have more advanced features, such as standardized procedures and methods, transparent guidelines, and stable relationship among federal/state/local governments and stakeholders, which would be helpful to improve air quality in SMA.

목차

Abstract
1. 서론
2. 대기 중 미세먼지 개선을 위한 법적장치 및 기준
3. 미세먼지 관련 대기질 관리 정책 사례
4.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24)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0-539-002072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