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찬국 (한국교원대학교)
저널정보
한국환경교육학회 환경교육 環境敎育 第26卷 第1號
발행연도
2013.3
수록면
94 - 110 (1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Stratospheric ozone depletion’ or ‘ozone layer depletion’ had been a public concern for more than two decades. During the period, environmental educators made global efforts to foster learner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is issue, and to change learners’ behavior to act in favor of protecting ozone layer. Different from other articles in environmental education (EE), however, this article has its focus on an environmental issue which has already been resolved mainly based upon international collaboration and institutions such as the Montreal Protocol to phase out ozone depleting substances. For that, individual citizens’ or students’ efforts such as “NOT to use spray cans with CFCs (chlorofluorocarbons) inside” could not be an effective solution, ironically. Reviewing the discourses and practices of EE critically with the ozone layer depletion case, this article conceptually reflects how EE practices with focus on individual citizens’ or students’ behavioral change may not always be appropriate in dealing with some environmental issues. This article will discuss some possible ways to deal with these environmental problems, issues or phenomena in EE. This article also provides topics for discussion in teaching environmental problems, issues or phenomena based on new perspectives on roles of E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의 전제와 논의 틀
Ⅲ. 연구의 출발점과 연구의 범위
Ⅳ. 성층권 오존층의 고갈과 회복
Ⅴ. 성층권 오존층에 대한 이해와 인식 연구
Ⅵ. 환경교육의 목적으로서의 개인의 행동 변화와 환경문제의 해결
Ⅶ. 연구자의 수업: 성층권 오존층 고갈과 회복 사례
Ⅷ. 논의: 환경문제와 환경교육의 역할과 의미
Ⅸ. 맺음말: 연구의 의의와 향후 연구
참고문헌

참고문헌 (1)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4-300-003096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