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도연 (경희대학교) 오혜경 (경희대학교) 주서령 (경희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22권 제6호
발행연도
2013.12
수록면
199 - 211 (13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Indonesia is archipelago country and plural society which consist of diverse ethnic groups. This study select Java island and Java houses as a representative housing of Indonesi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raditional houses of Java in Indonesia by examining pre-existing literature.
First, the Java House as a microcosm of the universe that shows universal and religious aspects. Furthermore, each building contains spiritual symbolism. These ideological aspects select the location and layout of the towns, villages and buildings, which create an order to the interior space. The space structure of Java housing is characterized by strong juxtaposition between east/west, front/back, public/private, male/female, and open space/closed space. There is also a hierarchy of space, which were applied in floor level, height of space and lightness. The structure of the roof shows the best formativenes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roof, the function of the building is shown, and also it represents the social rank and religious respect. Joglo’s unique formativeness is an icon of the Java architect.

목차

Abstract
1. 서론
2. 자바의 역사 및 주거건축
3. 자바의 전통적 관념체계 및 질서원리
4. 자바주택의 공간구성
5. 조형적 특성
6.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49)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5-610-0009828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