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만해 (서울대학교) 여희동 (서울대학교) Nobuo Sugimoto (일본국립환경연구소) 임한철 (기상청) 이철규 (기상청) 허복행 (기상청) 유영석 (기상청) 손병주 (서울대학교) 윤순창 (서울대학교) 김상우 (서울대학교)
저널정보
한국기상학회 대기 대기 Vol.25 No.1
발행연도
2015.3
수록면
169 - 177 (9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Vertical distribution of particle mass concentrations was estimated from 8-year elastic-backscatter lidar and sky radiometer data, and from ground-level PM10 concentrations measured in Seoul. Lidar ratio and mass extinction efficiency were determined from aerosol optical depth (AOD) and ground-level PM10 concentrations, which were used as constraints to estimate particle mass concentration. The mean lidar ratio (with standard deviation) and mass extinction efficiency for the entire 8-year study period were 60.44 ± 23.17 sr and 3.69 ± 3.00 ㎡ g<SUP>?1</SUP>, respectively. The lidar ratio did not vary significantly with the Angstrom exponent (less than ± 10%); however, the mass extinction efficiency decreases to 1.82 ± 1.67 ㎡ g<SUP>?1</SUP> (51% less than the mean value) when the Angstrom exponent is less than 0.5.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particle mass concentration from lidar measurements can be underestimated for dust events. Seasonal variation of the particle mass concentration estimated from lidar measurements for the boundary layer, was quite different from ground-level PM10 measurements. This can be attributable to an inhomogeneous vertical distribution of aerosol in the boundary layer.

목차

Abstract
1. 서론
2. 관측 기기 및 자료
3. 에어로졸 질량농도 산출방법
4. 결과 및 토의
4. 요약 및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1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