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디자인문화학회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7권 제1호
발행연도
2011.3
수록면
188 - 202 (15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논문은 타이포그라피에 내재된 입체적인 공간성을 새로운 관점에서 살펴보고 타이포그라피의 공간성이 어떻게 인지심리적, 표현적, 기호적, 언어적 차원에서 텍스트의 의미자질을 보완하고 강화하는지 고찰하기 위해 연구되어졌다. 연구범위로는 일차적으로 타이포그라피의 기본 요소인 텍스트를 기록 언어의 범위로 한정하고 그 개념을 인지심리적, 표현매체적, 기호학적, 언어학적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타이포그라피의 인지적 위상공간 분석을 위해서는 연구자가 분류한 각 공간의 개념을 선명하게 나타내는 필리포 마리네티(Filippo T. Marinetti), 잭 피어슨(Jack Pierson), 악셀 피모엘러(Axel Peemoeller), 리자 리너만(Lisa Rienermann)의 작업들을 사례로 삼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전경-배경의 결정요인에 따라 타이포그라피의 텍스트가 전경(Figure)으로 인지됨을 전제로, 글자가 배경으로부터 가지는 거리 값을 a, 글자 자체의 양감 값을 b로 설정함으로써 인지적 공간개념을 세우고 분석의 기준점으로 삼았다. 그리고 a와 b의 변주에 따른 조합으로 타이포그라피의 위상공간을 4가지로 분류하고 각 범주에 속한 타이포그라피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내용과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글자와 배경 사이의 거리개념 a 가 발달함에 따라 타이포그라피의 새로운 공간성, 시간성, 운동성이 발현된다. 두 번째, 거리개념 a 와 글자의 양감 b 가 모두 양(+)의 값을 가지는 경우, 글자의 3차원적 물성이 표현매체로서 더욱 활성화되며, 3원론적 기호체제에서 이야기하는 해석체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세번째, xyz축으로 이루어진 현실의 3차원 공간에 이질적인 2차원 위상체계로서 존재하는 타이포그라피는 인지자의 주체적인 움직임으로 말미암아 시간성을 획득하고, 시각적 긴장과 이완을 바탕으로 한 유희를 제공한다. 네번째,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전경과 배경을 도치한 타이포그라피는 3차원의 영역에서 음(-)의 방향으로 공간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놓으며, 공간의 탄력성을 극대화한다. 이와 같이 연구자는 인지적 위상공간 개념을 통해 타이포그라피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타이포그라피의 평면적 양태가 인지적, 기호적, 표현적, 언어적 측면에서 더욱 풍부하게 진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공간성의 측면에서 타이포그라피가 어떻게 또 다른 시각언어 체계인 이미지와 상호작용하는지 더욱 심도있게 살펴볼 계획이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29)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