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Abstract
1. 서론
2. 연구대상지역 및 자료의 선정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2018~2021년 황사(Asian dust)와 연무(Haze)에 따른 에어로졸 특성 비교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3 .10
장기간 (1990 ~ 2012) 측정자료를 이용한 용인-수원지역에서의 PM2.5의 화학적 특성연구 및 헤이즈와 황사 현상 시 화학성분별 질량분율표의 개발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2015 .06
2010년 서울에서 관측한 황사와 연무사례의 물리, 화학, 광학적 특성비교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2015 .04
2019년 서울지역 극심한 연무 사례 시 PM2.5 농도 특성 및 생성에 관한 물리 · 화학적 기여도 추정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1 .10
The Simulation of Asian Dust Transportation in Korea : A Case Study of the Asian Dust Event of 20 March 2010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7 .11
2022년 12월 황사 사례 분석을 통한 황사 · 연무통합예측모델 (ADAM3)의 예측성 평가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2023 .06
2014~2015년 제주도에서 관측한 황사의 이동경로에 따른 입경별 화학 특성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2023 .04
Association between PM2.5 concentrations, visibility, and planetary boundary layer height during haze-fog events in Seoul, Korea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8 .10
부산 지역 연무 발생일의 미세먼지 중 금속과 이온 성분 농도 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2017 .06
황사 발원지에서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Wind-Blown Dust 모델의 평가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2 .10
기상청 황사 · 연무통합예측모델의 황사발원지역 최신화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2023 .06
Impacts of biomass burning and large-scale transport on the Southeast Asian haze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6 .04
박막 태양전지 응용을 위하여 유리 습식 식각을 이용하여 Multi-Scale Architecture 의 haze 효과
한국진공학회 학술발표회초록집
2016 .02
동아시아 먼지발생원에서 Wind-Blown Dust 모델들의 임계마찰속도 비교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8 .10
A study on ICP-RIE glass texturing by SF6/Ar plasma for high haze ratio
한국진공학회 학술발표회초록집
2016 .08
2019년 겨울철 수도권 연무사례시 기상 및 PM2.5 농도 예측에 영향을 주는 자료동화 효과 분석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0 .10
국제 공동 동시 관측을 통한 한중 미세먼지 차별성과 고농도 특성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0 .10
Pathological Impact on the Phyllosphere Microbiota of Artemisia argyi by Haze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2021 .01
백령도와 수도권의 황사 수송 시간과 바람장 분석
한국환경과학회지
2022 .06
황사장기예측자료를 이용한 봄철 황사 발생 예측 특성 분석
대기
2022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