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캠프의 시작: 우리는 연결될수록 서로의 용기가 될 거야
‘동’세대 ‘여성’, 우리는 동일한가?
‘나는 페미니스트다’로 만나서 ‘우리는 페미니스트다’ 되기
우리는 지옥에서 온 페미니스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페미니스트들은 멈추지 않을 것이다: 2022 페미니스트 주권자행동
여/성이론
2022 .08
20대 페미니스트 여성들의 ‘페미니즘’과 그 의미: 페미니스트-되기의 해방과 곤경을 중심으로
젠더와 문화
2022 .06
‘불안한’ 페미니스트의 ‘차세대’ 페미니스트 되기
여/성이론
2019 .12
페미니스트 여성 정치인 ‘여기 있다’
여/성이론
2020 .08
한 ‘청년’ 페미니스트의 눈으로 되돌아본 20대 대선과 그 이후
여/성이론
2022 .08
한국사회 페미니스트 그린 뉴딜 탐색
여/성이론
2020 .12
페미니스트 STS 관점으로 보는 리빙랩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2021 .05
실험실의 페미니스트들: 페미니즘 대중화 시대의 여성 과학자와 ‘페미니스트로서 과학하기’
젠더와 문화
2024 .12
에코페미니스트의 행복혁명 : 『덜 소비하고 더 존재하라』
아시아여성연구
2017 .05
페미니스트 낙인과 여성 노동: 여성의 조직 내 경험과 통치성의 구성
한국여성학
2024 .09
국내 페미니스트 디자인 연구의 특징: 1970~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2019 .01
페미니즘은 과학을 바꾸는가? 페미니스트 과학, 젠더혁신, 페미니스트 과학학
과학기술학연구
2020 .11
특전사−페미니스트 대통령을 맞이하면서 : 『군사주의는 어떻게 패션이 되었을까』
아시아여성연구
2017 .05
‘이생망’ ‘헬조선’ 여성청년들의 페미니스트 되기
여/성이론
2017 .12
공정으로서의 파이론? : 페미니스트 정의를 다시 생각한다
여/성이론
2021 .12
지역 거주 20대-30대 여성들의 페미니스트 인식과 실천: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젠더와 문화
2022 .12
“교차성 페미니스트” 킴벌리 크렌쇼가 우리에게 건네는 말
여/성이론
2018 .06
한국에 온 ‘남녀동수(Parité)’, 페미니스트 정치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
여/성이론
2019 .05
한국 드랙킹씬의 탄생과 퀴어 페미니스트 대항공중의 형성
여/성이론
2021 .08
언어모델의 ‘안전’이라는 문제 : AI 안전에서 온정주의적 보호, 취약성, 규범성의 문제에 대한 페미니스트 비판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2023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