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문제제기
2. 난민의 문제와 난민문제
3. 난민문제의 복합성: 법과 제도
4. 난민문제의 복합성: 거버넌스의 혼란과 정치화
5. 난민문제의 복합성: 사회 · 문화적 특징
6. 정치적 의지와 문화적 성숙을 위하여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영화 속의 난민 이미지 : 제주 예멘 난민 사태를 계기로 다시 보게 된 몇 편의 영화에 대한 단상들
문화과학
2018 .12
’예멘 난민, 인권의식 정립할 기회다
제3시대
2018 .07
[사회] ‘제주 예멘 난민 사태’를 통해 본 한국 사회의 이슬람 혐오와 인종주의
자음과모음
2018 .12
한국 사회에서의 난민 인식의 문제
탐라문화
2020 .01
제주 예멘 난민사태와 인간안보: 사회통합방안을 중심으로
민족연구
2019 .01
난민을 관리하는 정치 또는 난민에 의한 ‘난민정치’
문화과학
2016 .12
난민을 생각한다
창비어린이
2021 .12
한국사회와 난민 : 난민과 환대의 책임
문화과학
2016 .12
[제주] 폭삭 속았수다, 제주
트래비 Travie
2025 .05
나의 제주일지
월간에세이
2023 .01
난민과 민주주의
현대사상
2023 .09
플래너리 오코너의 『난민』 속 신학적, 존재론적 난민 연구
영어권문화연구
2021 .01
‘여성인권’의 이름으로 맺는 ‘위험한 연대’ : 예멘 난민수용반대 청원과 이슬라모포비아
제3시대
2018 .06
독일사회에서의 난민 논쟁 (1980-1993)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2016 .01
청년이라는 난민 : 국민도 시민도 아닌 난민이 되어버린 청년 세대
문화과학
2016 .12
난민(難民)과 국민 그리고 난민(亂民) : 『난민, 경계의 삶』 | 김아람 | 역사비평사 | 2023
황해문화
2023 .06
기독상담사들의 이슬람 난민 및 난민 돌봄에 관한 체험 연구 : 연세대학교 상담코칭학과 난민연구 조원들을 대상으로
연세상담코칭연구
2020 .09
[일본] ‘방과 후 난민’, 갈 곳 없는 어린이를 위해
창비어린이
2020 .12
난민의 인권과 국가안보: 한국 난민법 개정의 쟁점을 중심으로
담론201
2016 .01
유럽연합 난민정책의 대내외적 변화: 2015년 난민위기를 중심으로
민족연구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