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나하나 (인제대학교) 정우식 (인제대학교) 박종길 (인제대학교)
저널정보
한국대기환경학회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한국대기환경학회지 제35권 제1호
발행연도
2019.2
수록면
36 - 48 (13page)
DOI
10.5572/KOSAE.2019.35.1.036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44)

2021

관측자료에 기반한 한반도 근대기상관측 이후 비태풍 시기 ‘태풍급 강풍’의 시공간적 특성 강해지고 있는 태풍, 그리고 태풍 영향예보에 활용 가능한 한국형 태풍사전방재모델 한국형 태풍유형지수를 활용한 한반도 영향 태풍 특성 분석 - 재산피해 상위 10위 권 태풍을 대상으로 - 관측자료에 기반한 근대기상관측 이후 한반도 강풍의 시, 공간적 특성 - 태풍시기, 비태풍 시기를 구분하여 - 관측자료에 기반한 한반도 영향태풍의 기상요소 극값 변화 한반도 비태풍시기 강풍의 공간적 분포 특징 - 관측 자료와 강풍특보 자료 - 태풍사전방재모델의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한 연구 Part III: 토양자료별 WRF 민감도 분석 근대 기상관측 이후, 비태풍 시기 한반도 강풍의 장기특성 분석: 1904년부터 2019년까지 116년간 자료분석

2019

태풍사전방재모델을 통해 도출된 발생가능한 최대순간풍속(3초 gust)의 예측 민감도 연구 - 토양자료별(GDAPS SOIL, GFS SOIL) 분석 태풍에 동반된 3초 gust 예측을 위한 토양자료별(GDAPS SOIL, GFS SOIL) WRF 수행력 평가 태풍에 동반된 3초 gust 예측을 위한 초기 기상입력자료별(GDAPS, RDAPS, GFS) WRF 수행력 평가 태풍사전방재모델을 통해 도출된 발생가능한 최대순간풍속(3초 gust)의 예측 민감도 연구 - 고해상도 SST와 기상자료동화 적용 - 태풍사전방재모델을 통해 도출된 발생가능한 최대순간풍속(3초 gust)의 예측 민감도 연구 - 기상입력자료별(GDAPS, RDAPS, GFS) 분석 고해상도 SST와 기상 자료동화 적용 시 태풍사전방재모델의 3초 gust 예측력 분석 태풍의 최대순간풍속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한 WRF 수행력 평가 - 기상입력자료(GDAPS, RDAPS, GFS)에 따른 분석 - 기상입력자료(GDAPS, RDAPS, GFS)별 태풍사전방재모델의 3초 gust 예측력 분석 태풍의 최대순간풍속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한 WRF 수행력 평가 - 토양자료(GFS SOIL, GDAPS SOIL)에 따른 분석 - 토양자료(GFS SOIL, GDAPS SOIL)별 태풍사전방재모델의 3초 gust 예측력 분석 태풍사전방재모델의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한 연구 - Part I: 고해상도 해수면 온도 적용과 기상 자료동화에 대한 WRF 민감도 분석 한반도 영향 태풍의 월별 최대풍 특징과 사례 연구-태풍 루사·매미·곤파스·볼라벤을 대상으로 - 태풍 최대풍속반경과 지표 거칠기길이에 따른 태풍사전방재모델의 적합성 평가 한반도 태풍내습 시 태풍경로별 나타나는 최대풍속 분포특성 연구

2018

한반도 영향 태풍의 월별 강풍 특징과 사례 연구 : 태풍 루사 · 매미 · 볼라벤을 대상으로 태풍에 대한 사전 방재 기상 정보의 태풍 진로 유형별 구축 WRF의 해수면 온도 및 자료 동화 효과 분석을 통한 RAM의 정확도 향상 연구 RAM의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한 고해상도 해수면 온도 민감도 및 자료동화 효과 연구 태풍 사전 방재 시스템의 기초자료 구축 : 태풍의 진로 유형에 따른 분석 태풍 사전 방재 시스템의 기초자료 구축 : 내습 월별 특징과 태풍 루사·매미·볼라벤 분석 태풍 사전 방재 시스템의 기초자료 구축 : 엘니뇨·라니냐 발생에 따른 분석과 연도별 변화 (2002~2015) 태풍 내습 시 발생 가능한 최대 풍속과 관측값의 비교를 통한 RAM의 검증 태풍 내습 시 발생 가능한 최대 풍속 산정을 통한 태풍의 사전 방재 시스템 기초 자료 구축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In this study, the typhoon disaster prevention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maximum wind speeds during the track of typhoons that affected the Korean peninsula from 2002 to 2015. RSMC Tokyo Typhoon Center’s best track data and the WRF numerical modeling results using the RDAPS data from the KMA were used as input data. The frequency of the influence according to the track type of all typhoons that affected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study period (2002~2015) was analyzed. As a result, Type 7, which affects the Korean peninsula after passing Japan, wa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Type 2, which landed directly on the Korean peninsula having arrived through the South Sea of Korea. The monthly track type of typhoons that affected the Korean peninsula were also analyzed. In September, Type 2 and Type 7 typhoons were observed frequently. The highest frequency of the maximum wind speed of 3-Second gust that can occur during a typhoon attack was observed for Type 2, The distribution of Type 2 showed a high frequency of 3-Second gust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the South and East Sea of Korea. In the case of the Type 2 track, which has a direct impact on the Korean peninsula due to typhoons landing from the South Sea, the frequency of occurrence was the second highest throughout the study period, and the 3-Second gust value, which is the maximum wind speed that could occur during a typhoon attack, was the highest. If this information is used as basic data in the typhoon disaster prevention system, it will contribute to future typhoon disaster prevention.

목차

Abstract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2. 결과 및 고찰
4.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17)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