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강원도 평창군 백룡동굴에 나타나는 종유관 다양성의 원인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16 .10
강원도 평창군 백룡동굴의 계절간 대기 순환 고해상도 관측 결과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22 .10
천연기념물 제260호 백룡동굴의 가을철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관측 결과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20 .10
Changes and controlling factors on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carbon dioxide of Baeg-nyong Cave (Natural Monument No. 260), Pyeongchang-gun, South Korea during a single autumn season
지질학회지
2020 .12
백룡동굴 종유관의 연간 성장 특성과 조절 요인에 대한 모니터링 연구결과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21 .10
제주도 용천동굴의 대기환경, 낙수율 변화와 현생 침전 방해석의 모니터링 결과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22 .10
한반도 동남부 지역에서의 동굴형성과정 연구 : 너뱅이동굴과 백룡동굴의 예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23 .11
강원도 평창군 백룡동굴에서 산출되는 종유관의 기재학적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017 .01
지구물리 탐사에 의해 발견된 제주도 용암동굴의 특징과 의미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015 .01
제주도 용천동굴 내 낙수와 동굴생성물 바이오필름에 서식하는 탄산염 형성 미생물의 종 다양성 및 탄산염광물 침전 작용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23 .11
백룡동굴 입구부 튜파의 미생물 구조 연구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17 .10
Exploring microbial diversity in South Korean caves through shotgun sequencing: contrasting dry and wet environments, swabbing versus sediment sampling
지질학회지
2024 .09
Microbial structures and their distributions in cave tufa formations from a twilight zone of the Baeg-nyong Cave
지질학회지
2017 .10
용암동굴 형성 과정 이론에 기반한 제주도 용천동굴의 낙반발생 특성 분석 및 원인 예비연구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23 .11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일대에 발달한 하안단구 특성 및 연대측정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20 .10
강원도 지역 대기오염물질과 정규식생지수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2 .10
경상북도 봉화군 너뱅이굴의 동굴지질학적 특징 및 형성과정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21 .10
농업지역 대기 암모니아 및 대기질 모니터링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3 .10
강원도 기념물 강릉 옥계동굴 내에서 성장한 석순(OG1)의 발광 특성 연구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23 .11
국가지질공원 야외지질학습장으로서의 동굴의 활용성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17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