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요약
ABSTRACT
1. 서언
2. 지질개요
3. 연구대상 및 방법
4. 기재
5. 생흔형성자 비교연구
6.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Reassessment of arthropod trackway from the Uhangri Formation (Upper Cretaceous), Southwestern Korea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18 .10
[LIVING FOSSILS] 살아있는 화석들
BBC 사이언스
2024 .11
PPO 저해 제초제 내성 유전자변형 벼가 절지동물군집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용곤충학회지
2015 .01
부산 기장군 신평리 해안에 분포하는 백악기 이천리층의 산상과 고환경에 대한 예비연구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21 .10
발자국 화석의 새로운 발굴 방법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016 .01
화석 조사·연구·보존·관리 시스템: 고생물학적 관점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21 .10
익룡 골격 화석의 해부학적 특징을 통한 발자국 화석 형성자 분류군 추정 가능성 연구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23 .11
문화재로서의 화석: 문제점 및 제언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21 .10
화석표본 목록화 및 관리를 위한 정보시스템: 기술적 고려사항들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21 .10
호두나무 포장 내 절지동물의 다양성
한국응용곤충학회지
2017 .01
몽골화석과 한국화석의 광물학적 및 지화학적 비교 연구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15 .10
Study history and research ethics of the dinosaur, pterosaur and bird tracks from Korea
지질학회지
2015 .04
산림 벌채가 산림의 수관 및 지표 절지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생태와 환경
2016 .01
경산시 부근 대구층 및 반야월층에 발달된 생흔화석상의 산상과 고환경에 관한 예비연구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17 .10
Fossil-bearing deposits in the Jinju Formation at Jinju: Occurrences, paleoenvironments and stratigraphic implications
지질학회지
2019 .10
RTI 기술을 활용한 흔적화석 연구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24 .10
산지초지의 식물 군락에 따른 토양 미소동물 및 지표면 서식 절지동물의 군집 차이
환경생물
2016 .12
한반도에서 산출된 화석목재의 다양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015 .01
경북 경산시 하양읍 백악기 퇴적층(대구층)에서 산출된 새발자국 화석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17 .10
몽골 Nemegt Formation (Campanian - early Maastrichtian)에서 산출된 새로운 어류 화석의 기재 및 기존 화석의 재분류
한국고생물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2018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