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본론
결론
적요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Effect of Indigenous Microbiome in Soil on Salmonella enterica Survival
한국미생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6 .04
망간 산화 미생물을 이용한 새로운 미생물 전지 개발
한국미생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6 .04
국내 폐광산 및 제주 곶자왈 지역내의 미생물 분리 및 특징 분석
미생물학회지
2017 .12
Two Novel Bacteria Isolated from Korean Indigenous Vertebrate
한국미생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0 .10
멕시코 동광 습식제련 슬러지에서 분리배양된 토착미생물에 의한 탄산염 생광물화작용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2016 .10
배양기법을 활용한 제주도내 내산 및 호염성 미생물의 분리 및 특성 분석
미생물학회지
2019 .09
지방고유산업과 관광사업의 연계방안 모색에 관한 고찰 - 일본 텐도우(天童)시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과학회지
2016 .09
Comparison between DNA- and cDNA-based gut microbial community analyses using 16S rRNA gene sequences
미생물학회지
2019 .09
국내에서 사육되는 Holstein 젖소과 Jersey 젖소의 대변 미생물 분석: 비교연구
생명과학회지
2023 .07
연구자 편의성 제고를 통한 미생물 위해평가 기술 보편화 전략
한국분석과학회 학술대회
2016 .05
Screening of Indigenous Bacterial Strains for Alleviating Salinity Stress in Cucumber Plants
한국미생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2 .10
부산 해양 미생물의 항균, 항산화능 관찰 및 활용 방안 모색 - Pseudoalteromonas sp.과 그 외 미생물의 관찰
한국미생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9 .04
Comparative Analysis of Three Novel Deefgea Strains Isolated from Korean Indigenous Fishes
한국미생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1 .08
Unrecorded species of Korean metazoans discovered through the project of "Discovery of Korean Indigenous Species" (2006-2010)
Journal of species research
2017 .01
화성의 가혹한 환경도 견뎠을 "질긴" 미생물은?
Popular Science
2022 .10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한 우리나라 중부지방과 남부지방의 김치 미생물 군집의 분포 및 다양성 분석
생명과학회지
2023 .01
미생물 균총이 위장관암과 항암제에 미치는 영향
생명과학회지
2022 .05
발효 미생물을 이용한 식물의 항산화능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미생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8 .04
미생물, 도와줘요! 피부미인이 되고 파요.
한국미생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5 .04
세균으로 그린 그림 ‘미생물 아트’
Popular Science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