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광민 (전남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기능성 표면공학연구소) 김용재 (전남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기능성 표면공학연구소) 강경호 (전남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기능성 표면공학연구소) 윤두현 (전남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기능성 표면공학연구소) 노상현 (전남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기능성 표면공학연구소) 강석일 (전남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기능성 표면공학연구소) 유대흥 (전남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기능성 표면공학연구소) 임현필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보철학교실) 윤귀덕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보철학교실) 박상원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보철학교실) 김현승 (메가젠[주] 기술연구소)
저널정보
한국재료학회 한국재료학회지 한국재료학회지 제23권 제4호
발행연도
2013.1
수록면
240 - 245 (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Electrochemical surface treatment is commonly used to form a thin, rough, and porous oxidation layer on the surface of titani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of nanotubular titanium oxide arrays during short anodization processing. The specimen used in this study was 99.9% pure cp-Ti (ASTM Grade II) in the form of a disc with diameter of 15 mm and a thickness of 1 mm. A DC power supplier was used with the anodizing apparatus, and the titanium specimen and the platinum plate ($3mm{\times}4mm{\times}0.1mm$) were connected to an anode and cathode, respectively. The progressive formation of $TiO_2$ nanotubes was observed with FE-SEM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Highly ordered $TiO_2$ nanotubes were formed at a potential of 20 V in a solution of 1M $H_3PO_4$ + 1.5 wt.% HF for 10 minutes, corresponding with steady state processing. The diameters and the closed ends of $TiO_2$ nanotubes measured at a value of 50 cumulative percent were 100 nm and 120 nm, respectively. The $TiO_2$ nanotubes had lengths of 500 nm. As the anodization processing reached 10 minutes, the frequency distribution for the diameters and the closed ends of the $TiO_2$ nanotubes was gradually reduced. Short anodization processing for $TiO_2$ nanotubes of within 10 minutes was established.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