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른 사회 환경에서 최신 디자인 트렌드를 연구하고 분석하여 소비자 심리를 파악함으로써 기업이 만족할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도록 유도한다. 사용자 중심에서 사용자 경험을 높이고, 문제의 문제점을 파악해 사용자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디자인 산업의 필수 과정이다. 한편 코로나 19가 유행하면서 우리 생활은 급격한 디지털화를 맞이했다. 원격, 온라인 등 일련의 근무방식과 생활방식이 사람들의 관심의 초점이 되었다. 원격근무와 학습이 일상화되고 재택시간이 길어지면서 주거공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주거 공간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차별화와 다양한 주거 공간 제품에 대한 수요도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디자인 트렌드 박람회에서 선보이는 신제품에 대한 정보반영과 새롭고 독창적인 디자인 콘셉트에 관심을 갖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그러므로 인테리어 제품디자인 산업에서는 현 트렌드의 흐름을 파악하고 시장 환경을 분석이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정보와 데이터 수집을 통한 수요를 정확히 예측한 후 효율적으로 제품디자인에 적용되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는 세계 유명 박람회인 2022-2023 하임텍스틸(Heimtextil)에서 제시하는 트렌드를 정확히 고찰분석하고, 이를 반영한 다양한 인테리어 제품 사례를 연구 분석하여 디자인 트렌드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기업 디자인 개발에 기초자료로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디자인 트렌드에 대한 정의와 2022-2023 하임텍스틸 디자인 트렌드의 이론적 고찰을 위하여 선행 연구 분석과 문헌 조사를 하였다. 2022-2023 하임텍스틸 디자인 트렌드를 반영한 용도별 인테리어제품디자인 사례분석하기 위하여 인터넷 자료조사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범위로는 2022-2023 하임텍스틸 디자인 트렌드와 용도에 의한 벽 및 바닥용품, 거실용품, 주방용품을 범위로 선정하여 트렌드가 반영된 인테리어제품디자인 사례를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벽 및 바닥용품은 심층자연, 초자연, 신분 초월, 권리부여인 트렌드를 반영하여 제품으로 출시하였으며, 심층적인 디자인 철학으로 우리의 미래를 치유하고 보호한다는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둘째, 거실 용품은 심층자연, 초자연, 신분 초월, 권리부여 트렌드를 반영하는 제품들이 나타났으며, 우리의 관계를 변화하는 것은 우리 경제, 과학 기술을 자연 속에 수용하는 데서 비롯된 것이라고 사료된다. 셋째, 주방용품은 주로 심층자연 트렌드를 반영한 제품들이 많이 나타났으며, 자연세계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오랜 전환과 재학습의 과정을 표현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또한 소비자 니즈를 반영하기 위해서 소비 트렌드 흐름 파악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국내외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와 기업매출 증대를 위한 신제품 디자인 개발은 반드시 디자인 트렌드 반영 필수요소라고 판단되며, 사례분석을 통한 방향 제시는 인테리어 제품디자인 관련 분야와 기업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The companies induce to make satisfactory products and services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latest design trend in the rapidly-changing social environment, and then understanding consumers’ psychology. Increasing the user-centered user experiences and solving users’ troubles by understanding the problems of the troubles are the essential process of the design industry. Meanwhil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our life went through the rapid digitalization. A series of working method and lifestyle such as remote and online method grabbed people’s attention. As the remote working/learning gets routinized and the hours of staying at home get longer, people’s interest in residential space gets higher. The increased demand for residential space products is led to the increased demand for differentiated and various residential space products. Thus, in order to meet consumers’ needs, more and more companies pay attention to the new and original design concepts and also reflect information about new products shown in design trend fairs. Therefore, understanding the current flow of trend and analyzing the market environment are very important elements in the interior product design industry. It is also important to accurately predict the demand through the collection of information and data, and then to efficiently apply it to product design.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corporate design development by accurately considering and analyzing the trend presented by a world famous fair called Heimtextil 2022-2023, researching and analyzing various interior product cases reflecting it, and then presenting the future direction of design trend. In the research methods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preceding researches and conducted literary review for the definition of design trend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design trend of Heimtextil 2022-2023. For the case analysis on interior product design for each use reflecting the design trend of Heimtextil 2022-2023, the research was performed by concentrating on internet data search. In the results of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interior product design reflecting the trend targeting the wall & floor goods, living room goods, and kitchen goods following the Heimtextil design trend and use in 2022-2023, the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the wall & floor products were released by reflecting the trend such as in-depth nature, super nature, transcendence of social status, and empowerment. The in-depth design philosophy gives the meaning of healing and protecting our future. Second, the living room products reflected the trend such as in-depth nature, super nature, transcendence of social status, and empowerment. Changing our relationship might be originated from accepting our economy and scientific knowledge to nature. Third, many kitchen products mostly reflected the trend of in-depth nature. In order to maintain the balance of natural world, the process of transition and relearning for a long time must be expressed. In order to reflect consumers’ needs, it would be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flow of consumption trend. And the strengthening of competitiveness in domestic/foreign markets and development of new product designs for the increase of corporate sales are essential elements for the reflection of design trend. Presenting the future direction through the case analysis would be very important to both companies and fields related to interior product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