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서론
2. 적(敵) 치하 3개월, 전향과 감정적 잔여
3. 수치심을 넘어선 죄의식: 운동권-신앙 모티프 결합의 특이성
4. 아들의 죽음: 도덕적 방어의 포기와 연민으로의 확장
5. 결론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박완서 산문에 나타난 치유의 서사
비평문학
2015 .09
박완서 노년 소설에 나타난 자기 돌봄과 저항 가능성 - 박완서의 「길고 재미없는 영화가 끝나갈 때」와 「대범한 밥상」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학
2024 .07
도시공간의 게토화와 불안의 정동 - 박완서의 아파트소설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2021 .06
朴婉绪小说《그 남자네 집》汉译本《那个男孩的家》 中零等值文化负载词的翻译策略研究
중어중문학
2018 .03
1960년대 근대화와 ‘보통’ 여성의 문학 행위 - 박완서의 『나목』 창작 및 등단 과정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20 .06
여성 경제 주체의 욕망과 여성 가장 되기의 (불)가능성-『도시의 흉년』을 중심으로-
사이間SAI
2021 .11
“제2의 성”이라는 명제의 서사화 - 박완서의 1980년대 여성 해방 소설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22 .03
박완서 『휘청거리는 오후』에 대한 재고 : 시각과 촉각의 대립적 형상화를 중심으로
우리말글
2017 .03
정치적 텍스트로서의 박완서 소설
동악어문학
2017 .08
사라진 신체들의 카르토그라피 - <빨갱이 바이러스>에 나타난 박완서 문학의 공간 정치
현대문학의 연구
2022 .10
1970년대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은폐와 폭로의 문제
한국현대문학연구
2015 .12
조선 후기 양반 여성의 자기서사에 나타난 ‘죄의식’에 관한 시론 : 『고행록』, 『자긔록』, 『윤시자긔록』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2022 .12
박완서 문학에 나타난 노년의 사유-인문학적 노년학의 가능성에 대하여-
겨레어문학
2022 .12
박완서의 자기-의식적 자화상 쓰기 -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2023 .09
쑤퉁(蘇童)의 ≪참새이야기 黃雀記≫ 小考 ― 죄의식에 관한 세 가지 독법을 중심으로
중국어문논총
2019 .01
수치심과 죄의식의 차이성과 동일성에 관한 연구 -피어스(S.Piers)의 정신분석학과 정신병리학 이론을 중심으로-
동서철학연구
2024 .06
노년 신체의 잠재성과 가능성-박완서의 노년소설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2020 .07
박완서 소설에서 나타나는 ‘중(中)’의 의미 연구 - 공간 형상화를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20 .03
체험주의적 상상력을 통해 본 박완서 초기 장편소설 연구 -「나목」, 『목마른 계절』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21 .12
박완서 문학 번역의 현황과 한국문학 번역의 새로운 가능성
비교한국학
2021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