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소재를 본격적으로 다루기 시작한 것은 대구시립극단 《동화세탁소》(안희철 작, 2003) 이어 안희철 작가가 ‘대구 약전골목’을 이야기를 창작 뮤지컬 《허브로드》(2007)로 다루면서 지역소재 콘텐츠들이 작가적 관점에서 본격적으로 발굴되는 기점이 된다. 이러한 생산적인 출발로 지역의 역사와 인물을 다루는 방식에서 보편적인 대구생활풍경과 시민들의 삶과 애환, 지역의 근현대의 삶과 도시풍경 등이 스토리를 발굴하기 시작하면서 소재들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연극이라는 공연예술의 특성상 공연극장이 필수 환경이 되어야 하고, 생산적인 개발 작품을 지원 육성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볼 때 대구의 창작환경은 소재개발시도와 더불어 소극장이 밀집되어 있는‘대명 공연문화 거리’가 발족하면서 제2의 도약기를 맞게 된다. 이어 대구문화재단 설립위원회가 결성(2008)되면서 문화재단 설립(2009) 및 세부운영계획이 수립하게 된다. 1대 김순규 대표이사가 취임하면서부터 지역의 연극, 공연예술, 축제, 오페라, 생활예술, 문화, 순수예술 분야 등 지원육성으로 다양한 지역의 콘텐츠들이 발굴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연극 분야는 <지역 특성화 콘텐츠 개발> 사업으로 지역 소재가 생산적으로 다양화되기 시작하면서 현대생활 풍경, 지역 근대역사 이야기, 현대 인물, 대구지역 골목길 시리즈, 2030들의 취업과 애환, 역사 인물 집중조명 등 그 소재의 차용이 다양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심재찬 대표이사(2016, 제4대)가 취임하면서 연극 분야 지원이 늘어났다는 점도 작용했다. 이러한 기점으로 대구지 역 스토리콘텐츠의 지역소재 개발의‘도입기’는 대구 시립극단 지역 소재시리즈 연극 시기(2003)로부터 볼 수 있다. ‘도약기’는 대구문화재단 설립 및 대구뮤지컬 축제 환경구축의 시기이며, ‘발전기’에 해당하는 대명 공연예술 거리 조성 및 소극장 확대 시기로 볼 수 있을 것이며 앞으로 이 단계를 거쳐 대구지역의 창작환경은 성숙기로 진입되고 있는 과도기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의 연구 방향은 이를 중심으로 지역스토리 콘텐츠의 성과와 가능성 연구를 대구지역 콘텐츠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The first theater play of popular local materials is 《Fairy Tale Laundry》(written by Ahn Hee-cheol, 2003) staged as ‘Local Play Series’ of Daegu City Theater Company. As Artist Ahn Hee-cheol staged 《Herb Road》(2007), a creative musical about ‘‘Daegu Yakjeon Street[1]’, local contents started to be discovered from the artist perspective. With this productive beginning, local story contents were expanded from local history and figures to general Daegu life landscape, citizens’ lives, and modern lives and urban scenery of the city, along with the increase of subject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 theater play, theaters should be an essential condition, and productively developed works should be supported and cultivated, so the creation environment of Daegu faced the second take-off stage as ‘Daemyeong Performance Culture Street, Daegu Foundation for Art & Culture’ was launched. Daegu Foundation for Art & Culture was founded(2009) and its specific operation plan was established. As Kim Soon-gyu, the 1st president, was appointed, various local contents started to be discovered with support and cultivation policy in theater play, performing art, festival, opera, living arts, culture and pure art. Especially in the theater play field, local subjects became diversified productively thanks to〈Local Specialized Contents Development〉support project. The spotlight came to living scenery, modern local history, figures, modern alley series of Daegu, 2030 generations’ employment and life, and historical figures, and material borrowing became various. Especially, as Shim Jae-chan(2016, the 4th president) was appointed, there was more support in the theater play field. The ‘introduction period’ of local material development can be viewed as the period of local subject series of Daegu City Theater Company(2003), and the ‘take-off stage’ is the establishment of Daegu Foundation for Art & Culture and the establishment of Daegu Musical Festival environment. The ‘development’ period is the establishment of Daemyeong Performance Art Street, the expansion of small thea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