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창규 (강릉원주대학교 신소재금속공학과) 김완태 (강릉원주대학교) 나경한 (강릉원주대학교 신소재금속공학과) 박동철 (강릉원주대학교 신소재금속공학과) 양완희 ((주)위드엠텍) 최원열 (강릉원주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제31권 제6호
발행연도
2018.9
수록면
417 - 421 (5page)
DOI
https://doi.org/10.4313/JKEM.2018.31.6.417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iO2 has excellent photocatalytic properties and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the increase in its specific surfacearea. The structure of TiO2 nanofibers indicates promising improved photocatalytic properties and these nanofibers can thuspotentially be applied in air pollution sensors and pollutant removal filters. In this study, a TiO2 nanofiber was fabricatedby the electrospinning method. The fabrication processing factors such as the applied voltage, the distance between nozzleand collector, and the inflow rate of solution were controlled. The precursor was titanium (Ⅳ) isopropoxide and as-spunTiO2 nanofibers were heated at 450℃ for 2 h to obtain an anatase crystalline structure. The microstructure was analyzedusing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and X-ray diffraction analysis (XRD). The anatase phase wasobserved in the TiO2 nanofibers after heat treatment. The diameter of TiO2 nanofibers increased with the flow rate, butdecreased with decreasing applied voltage and nozzle to collector distance. The diameter of TiO2 nanofibers was controlledin the range of 364 nm to 660 nm. These nanofibers are expected to be very useful in photocatalytic applications.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1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