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유은순 (성균관대학교 실감미디어공학과 지능형 멀티미디어 연구센터, 가톨릭대학교 인공지능학과 네트워크과학 연구실) 류선정 (단국대학교)
저널정보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프랑스어문교육 프랑스어문교육 제84호
발행연도
2024.3
수록면
151 - 187 (37page)
DOI
10.36747/ellf84.6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논문은 디지털 시대에 프랑스 문학 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탐색하기 위해 디지털 문학관에 대한 사용자의 경험을 분석하고 디지털 문학관이 보완해야 할 점을 점검한 다음, 그것이 프랑스 문학 강의에 사용될 경우 가져올 기대 효과를 환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국내외 디지털 인문학의 강의 연구 사례들을 검토하면서, 디지털 기반 프랑스 문학 교육의 현황과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카뮈 디지털 문학관의 사용 경험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디지털 문학관의 기능적, 내용적 측면에서 수정 및 보완되어야 할 사항들을 점검하면서, 그것이 교육적 도구로서 갖는 장점 및 단점도 살펴보았다. 설문조사 결과 학생들은 첫째, 디지털 문학관의 교육적 활용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문학 강의에서 디지털 도구 사용의 유용성과 필요성에 공감하였다. 둘째, 카뮈 디지털 문학관의 장점으로 작품에 대한 정량적 분석과 시각화를 통해 방대한 내용을 집약적으로 전달하고 직관적으로 파악하게 하는 점을 꼽았다. 특히 캐릭터, 공간, 키워드, 작품, 작가와 당대 지식인들 간의 교류 등을 네트워크로 시각화한 것은 작가의 작품 세계를 이해하게 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고 평가하였다. 셋째, 정보의 가독성을 위해 폰트 크기, 바탕 색깔 등 미학적인 부분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같은 기술적 문제를 보완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이러한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카뮈 디지털 문학관을 보완하고 향후 그것을 활용한 프랑스 문학 강의를 다음과 같이 설계해 보는 것을 제언하였다. 저학년 강의에서는 카뮈 디지털 문학관을 통해 학생들이 카뮈의 작품에 대해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작품 세계를 거시적인 차원에서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둔 수업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이때 교수자는 프랑코 모레티(Franco Moretti)의 ‘멀리서 읽기(distant reading)’ 개념에 근거해 학생들에게 작품에 대한 정량적 접근과 정성적 접근이 서로 어떻게 보완될 수 있는지 이해시키면서, 자연스럽게 카뮈 작품을 정독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고학년 강의에서는 디지털 문학관의 다양한 네트워크 시각화가 제공하는 정량적 결과를 활용하여 작품을 분석하게 하는 데 중점을 둔 수업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이때 교수자는 학생들이 정량적 접근과 정성적 접근을 병합한 분석을 실제로 진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