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2
2020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목적 43. 연구의 방법과 범위 4Ⅱ. 이론적 배경 71. 커뮤니케이션만족 7(가) 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중요성 7(나) 조직이론과 조직커뮤니케이션 8(다) 조직의 커뮤니케이션만족 112. 직무만족 15(가) 직무만족의 개념 15(나) 직무만족의 중요성 17(다) 직무만족의 결정요인 193. 조직몰입 21(가) 조직몰입의 개념 22(나) 조직몰입의 유형 24(다)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요인 264. 직무성과 28(가) 직무성과의 개념 28(나) 직무성과의 역할 측정 315. 변수간의 선행연구 32(가) 커뮤니케이션만족과 직무만족의 관계 32(나) 커뮤니케이션만족과 조직몰입의 관계 33(다) 커뮤니케이션만족과 직무성과의 관계 34(라)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와의 관계 35(마)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와의 관계 36Ⅲ. 조사 설계 381. 연구의 모형 382. 가설의 설정 39(가) 커뮤니케이션만족과 직무만족에 관한 가설 40(나) 커뮤니케이션만족과 조직몰입에 관한 가설 40(다) 커뮤니케이션만족과 직무성과에 관한 가설 41(라)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관한 가설 41(마)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에 관한 가설 423. 변수의 조작적 정의 43(가) 커뮤니케이션만족 43(나) 직무만족 44(다) 조직몰입 44(라) 직무성과 454. 자료의 수집과 분석방법 45(가) 자료 수집 45(나) 설문지의 구성 45(다) 분석방법 46Ⅳ. 연구의 분석결과 481. 표본의 일반적인 특성 482.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 51(가) 타당성과 신뢰도 분석 51(나)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성 분석 52(다) 구성개념별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56(라) 구성개념간의 상관관계분석 58(마) 측정모형분석 593. 연구가설의 검증 61(가) 연구모형의 검증 61(나) 커뮤니케이션만족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관한 가설검증 63(다) 커뮤니케이션만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 관한 가설검증 68(라) 커뮤니케이션만족과 직무성과의 관계에 관한 가설검증 70(마)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의 관계에 관한 가설검증 72(바)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의 관계에 관한 가설검증 74Ⅴ. 결론 751.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75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77[참고문헌] 79[부 록] 8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