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박시은 (상명대학교, 상명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홍완수
발행연도
2015
저작권
상명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6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일본 소비자를 대상으로 가정식사 대용식(HMR: Home Meal Replacement) 개발을 위해 소비자 요구도와 IAA(Impact-Asymmetry Analysis) 분석을 통하여 마케팅 전략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일본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HMR의 구매현황, 새로운 제품 개발 요구도 및 HMR 선택속성에 관한 IAA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두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1에서는 HMR 구매 경험이 있는 20∼50대 일본 성인 소비자를 대상으로 라이프 스타일 군집과 푸드 네오포비아 그룹(FNS)에 따라 HMR 구매 현황 및 새로운 제품 개발 요구도 조사에 관한 연구로서 일본 소비자들의 HMR의 구입 장소를 분석한 결과, 대형 슈퍼마켓이 가장 높았으며, HMR 구매 이유 및 용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시간절약이 가장 높았고, 조리방법이 간단해서가 그 다음으로 높았다. HMR의 주 용도로는 평상시 식사용이 가장 높았고, 반찬용, 도시락 및 행사용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식생활 무관심형의 경우 20대 및 미혼 소비자가 많으며, 대부분 저렴한 제품을 좋아하고, 편의점을 많이 이용 하며, 편리성 때문에 HMR 제품을 많이 이용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활 고관심형의 경우 대부분 30대 소비자가 많으며, 기혼자이고 월 소득이 높은 군집으로서 새로운 제품에 대한 개발 요구도가 높으며, 1회 평균 구매 비용이 높은 군집으로 조사되었다. 식생활 고관심형과 FNS가 낮은 그룹에서 HMR 제품 개발 모든 항목이 높은 요구도를 나타냈으며, 식생활의 관심이 높을수록 FNS가 높을수록 HMR 제품의 1회 평균 구매 비용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 2에서는 HMR 선택속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한 IPA 분석, 영향범위 수행분석, IAA 분석을 실시하여 제품 개발 시 세부적인 우선순위를 알아보았다. 중요도와 만족도 모두 높은 점수를 보인 문항은 ‘맛’으로 제시되었으며,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인 문항은 ‘SNS 및 APP을 통한 정보’로 나타났다.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중요도 평균은 5.11점, 만족도 평균은 5.04점으로 나타나 만족도가 중요도에 비해 낮은 점수로 나타냈다.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아 가정식사 대용식의 장점을 볼 수 있는 속성으로 제1사분면에서는 맛, 영양적 가치, 1인분의 양, 다양한 메뉴, 합리적인 가격, 원산지 표기, 깨끗하고 간편한 포장, 구입의 용이성, 음식섭취의 편리성, 시간단축에 용이 항목이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요도는 높으나 만족도가 낮은 개선 영역인 제2사분면은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요도와 만족도 사이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계수를 활용한 IPA 분석결과 개선 영역인 제2사분면에는 지속적으로 메뉴를 개발, 손님접대에 용이, 친숙한 음식, 주변 사람으로부터의 평판, 홍보 및 이벤트, 배달 서비스 및 Take out 서비스, SNS 및 APP 정보 항목이 포함되었다. 고객 만족도에 대한 영향범위를 분석한 결과 맛이 소비자 만족에 영향을 가장 많이 미치며, 프로모션 및 이벤트가 소비자 만족에 영향을 가장 덜 미치는 요인으로 제시되었다. 영향 범위-만족 분석 결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영향범위는 크지만 만족도가 낮은 영역으로는 지속적으로 메뉴를 개발, 손님 접대에 용이성, 배달 서비스 및 Take-out 서비스 용이, SNS 및 APP을 통한 정보가 제시되었으며, 영향범위와 비대칭 분석(IAA)을 실시한 결과 소비자에게 주는 영향력은 적지만 만족하는 것으로 1인분의 양, 깨끗하고 간편한 포장, 구입의 용이성이 나타났으며, 맛과 시간 단축 용이의 경우 고객 만족에 중립적 요소이지만 영향력이 큰 속성으로 제시되었다. IAA를 통하여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크지만 만족도가 낮은 속성을 파악한다면 제품 개발 시 일본 시장에 성공적인 진입 및 정착을 도울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2
3. 논문의 구성 3
Ⅱ. 연구 1: 일본 소비자들의 식생활 관련 요인에 따른 HMR 구매 현황 분석 4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5
2. 연구 내용 및 방법 7
3. 결과 및 고찰 9
4. 요약 및 결론 63
Ⅲ. 연구 2: HMR 제품에 대한 비대칭적 영향-범위 수행 분석 연구 : 일본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66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67
2. 연구 내용 및 방법 69
3. 결과 및 고찰 71
4. 요약 및 결론 88
Ⅳ. 종합 결론 및 제언 90
1. 요약 및 결론 90
2. 연구의 시사점 및 제언 92
참고문헌 94
부록 100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