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김창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장경식
발행연도
2016
저작권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0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신재생에너지산업은 독일, 일본, 미국을 중심으로 빠르게 발전되고 있으 며, 특히 환경오염 문제로 인하여 친환경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주목 받고 있다.
하지만, 태양광 발전 시스템 특성상 정밀한 점검을 통하지 않고 소리나 육안으로 고장유무를 판단하기 힘들다. 국내의 경우 50kw급 이상에 대해 서만 모니터링 시스템을 규정짓고 있는 실정이고, 50kw급 이하 중?소규 모에 대한 태양광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그로 인해 시스템에 대한 고장 및 성능진단에 대한 대처가 상당히 늦을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중?소규모의 분산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소개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태양광 발전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단말장치와 수집된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스마트폰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분산된 수집장치를 중앙에서 제어하는 중앙제어프로그램, 그리고 수집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등 각각의 클라이언 트와 통신하는 서버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안한 시스템을 본 논문에서 직접 설계하여 구현과정을 정리하 였으며, 구현한 시스템에 대하여 다음 3가지 사항에 대하여 검증을 진행 하였다.
첫 번째, 국제전기기술위원회인 IEC-61850 기준안에 의거 실시간성을 평가하여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모니터링 상태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 모니터링을 위한 센싱데이터 수집시 센싱주기를 어댑티브하게 설정하여 데이터 전송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토록 하였다.
세 번째, 태양광 발전 시스템 센서에서 측정된 일사량을 이용하여 실측된 발전량과 성능계수(Performance Ratio)값을 계산하여 실시간으로 고장진 단을 하여, 그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이상 3가지 사항에 대하여 시스템 유효성을 검증하여, 제안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분산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통합적으로 관리할수 있고, 실시간으로 발전량을 조회 및 고장 진단이 가능하도록 하여 성능저하에 대한 신속한 대처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