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유미진 (인하대학교, 인하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이익모
발행연도
2016
저작권
인하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24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에서는 불화수소(불산) 사용 시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체계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2014년 국내 화학산업을 대상으로 불화수소(불산)에 대하여 화학물질흐름분석을 실시하였다.
2014년 불화수소(불산)는 국내의 4개 업체에서 44,751 ton이 제조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입량은 95,984 ton이고 이 중 55,491 ton이 반도체 제조용으로 수입되었다. 또한 수출량은 2,180 ton이며 이 중 2,074 ton이 반도체 제조용으로 수출되었다. 수출입량을 통해서 불화수소(불산)가 주로 반도체 제조용으로 사용됨을 추론할 수 있었다.
산업분류별 불화수소(불산)의 취급량은 의약품을 제외한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에서 60,265 ton로 37.6%를 취급하며 가장 많이 취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이 38,679 ton으로 24.0%, 비금속 광물 제조업이 31,547 ton으로 19.6% 및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8,765 ton(5.4%)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산업이 21,867 ton으로 조사되었다.
161,123 ton의 불화수소(불산)에 대한 최하위 산업분류별 주요 취급 산업은 기초 무기화학물질 제조업(27,937 ton), 세척제 등을 생산하는 기타 화학제품 제조업(28,208 ton), 평판 디스플레이 제조업(24,896 ton) 및 포장용 유리용기 제조업(24,002 ton)인 것으로 나타났다.
불화수소(불산)에 대한 화학물질흐름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불화수소(불산)가 주로 반도체 산업과 유리용기 제조업에서 취급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두 산업에 대한 맞춤형 안전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목차

요약문 ⅰ
ABSTRACT ⅱ
목차 ⅳ
List of Tables ⅵ
List of Figures ⅶ
1장 서론 1
2장 문헌연구 3
2.1 화학물질 규제동향 3
2.1.1 국내 화학물질 규제동향 3
2.1.2 국외 화학물질 규제동향 6
2.2 불화수소 및 불산 13
2.2.1 물리화학적 특성 13
2.2.2 유해위험성 15
2.2.3 법적 규제 현황 17
2.2.4 불화수소 및 불산 사고사례 21
2.3 화학물질흐름분석 23
2.3.1 화학물질흐름분석 개요 23
2.3.2 화학물질흐름분석 절차 25
2.3.3 화학물질흐름분석 선행연구 26
3장 시스템 경계 설정 30
3.1 대상물질 선정 및 범위 설정 30
3.2 데이터 범위 설정 및 수집 30
4장 물질흐름의 정량화 32
4.1 불화수소(불산)의 수입량 및 수출량 32
4.1.1 수입량 32
4.1.2 수출량 33
4.2 불화수소(불산)의 제조량 34
4.3 불화수소(불산)의 취급량 35
4.3.1 지역별 취급량 35
4.3.2 산업별 취급량 37
4.4 불화수소(불산)의 배출량 43
4.4.1 사용량 대비 배출량 산정 43
4.4.2 업종별 배출량 산정 44
4.5 데이터 신뢰도 평가 47
5장 물질흐름도 작성 및 활용방안 제시 48
5.1 물질흐름도 작성 및 분석 48
5.2 물질흐름도 활용방안 제시 51
5.2.1 알권리 충족을 위한 정보제공 수단 52
5.2.2 안전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 52
6장 결론 54
참고문헌 55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