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38
2016
제Ⅰ장. 서론 1제Ⅱ장. 이론적배경 3Ⅱ-1.투명 전도성 산화물 3Ⅱ-1-1. 투명 전도성 산화물의 개요 3Ⅱ-1-2. ITO박막 4Ⅱ-1-3. SnO2박막 9Ⅱ-1-4. ZnO 박막 10Ⅱ-1-5. Oxide/Metal/Oxide (OMO) 다층박막 12Ⅱ-1-5-1. OMO 다층박막의 구조 12Ⅱ-1-5-2. OMO 다층박막의 특성 13Ⅱ-1-5-3. 굴절율 정합 (Index matching) 15Ⅱ-2. 스퍼터링 (sputtering) 18Ⅱ-2-1. 플라즈마의 정의 18Ⅱ-2-2. 스퍼터링의 정의 19Ⅱ-2-2-1. 스퍼터링의 개요 19Ⅱ-2-2-2. DC 글로우 방전 (DC glow discharge) 20Ⅱ-2-2-3. 스퍼터링기구 21Ⅱ-2-2-4. 스퍼터율 (sputtering yield) 23Ⅱ-2-3. DC/RF 스퍼터링법 32Ⅱ-2-3-1. DC 스퍼터링법 32Ⅱ-2-3-2. RF 스퍼터링법 36Ⅱ-2-4. 마그네트론스퍼터링법 (magnetron sputtering) 37Ⅱ-3. 투명면상 발열체 40Ⅱ-3-1. 투명면상 발열체의 원리 40Ⅱ-3-2. 투명면상 발열체의 종류 41Ⅱ-3-2-1. ITO 41Ⅱ-3-2-2. 탄소 나노 튜브 (CNT) 41Ⅱ-3-2-3. 그래핀 (graphene) 42Ⅱ-3-2-4. 실버나노와이어 (AgNW) 43제Ⅲ장. 실험장치구성및방법 44Ⅲ-1. 마그네트론스퍼터링장치의구성 44Ⅲ-1-1. Magnetron co-sputtering장치의 구성 44Ⅲ-2. Target의 구성 46Ⅲ-3. 박막의 특성 평가 46Ⅲ-3-1. 박막의 전기적특성 평가 46Ⅲ-3-2. 박막의 광학적특성 평가 50Ⅲ-3-3. 박막의 두께 평가 50Ⅲ-3-4. 박막의 미세구조 특성 평가 52Ⅲ-3-5. 박막의 발열 특성 평가 53제Ⅳ장. 결과및고찰 55Ⅳ-1. 단일/하이브리드 투명 면상발열체 박막의 특성 56Ⅳ-1-1. 박막의전기적 특성 55Ⅳ-1-2. 박막의광학적 특성 59Ⅳ-1-3. 박막의미세구조 특성 61Ⅳ-1-4. 박막의발열 특성 63제Ⅴ장. 결론 69References 71Abstract 7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