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박본영 (목포해양대학교, 목포해양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이동건
발행연도
2016
저작권
목포해양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2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4)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최근 들어 국제해사기구(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를 중심으로 크고 작은 해양사고들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해양안전기술(Marine Safety Technology)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국내는 해양수산부를 중심으로 해운 및 조선 산업의 경쟁력 확보와 IMO등을 통한 국제표준 선점을 위해 해양안전 기술개발 및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국내 해양안전기술은 미국, 일본 등과 같은 선진국에 비해 해양안전 분야의 시장 확보를 위한 노력뿐만 아닌 기술의 질적 수준 또한 부족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안홍기·김혜란, 2015)에 따르면 선진국에 비해 국내 재난안전관리 기술수준이 타 R&D분야에 비하여 뒤쳐져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해양안전 분야의 기술력 확보 및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현실적인 평가 방법론이 필요하며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존하는 해양안전기술들에 대한 비교평가 연구의 일환으로, 불확실한 미래 시장 환경의 변화와 다양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방법론인 시스템다이내믹스(System Dynamics)를 접목한 해양안전기술의 경제적 가치평가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 적용한 기술가치평가(Technology Valuation) 방법은 최종 기술가치를 화폐가치로 환산 가능한 방법론으로 현금흐름 기반의 수익 접근법(Income Approach) 절차를 활용해 이를 시간에 따른 기술가치의 변화를 보다 다양한 관점으로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다이내믹스 모델을 통해 구현하였다.
수행 사례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해양사고 유형에 따른 안전강도(Safety Weight)를 반영함에 따라 해양안전기술의 가치가 기존의 방법과 상이한 결과를 가지며, 해양사고 유형에 따른 발생빈도 뿐만 아닌 비용적인 측면에서 안전의 경제적 가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하였으며, 또한 핵심변수들의 추정 외에도 변수값과 기여율 등을 적용하는 과정과 정성적인 평가 요소들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짐에 따라 평가자의 주관이 다소 반영되어 미래의 정확한 가치 산정에 있어 오류를 범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예상된다.
하지만 본 논문은 확정적인 기존 방법론에서 벗어나 구조적으로 가치를 살펴볼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한 것으로, 객관성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 사례를 통해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충분히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연구는 기존 방법론의 개선사항을 반영해 해양 관련정책 및 안전기술 전반에 적용하여 다양한 사례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목차

1. 서 론 1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 요약 4
2. 이론적 개념 5
2.1 해양안전기술 개요 5
2.2 기술가치평가 정의 및 특징 6
2.2.1 기술평가의 정의 및 범위 6
2.2.2 기술가치평가의 방법 8
2.2.2.1 국내 기관별 기술가치평가 운영현황 10
(가) 기술보증기금 (KIBO) 12
(나)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13
(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15
2.2.2.2 국내 기술가치평가 표준화 모델 16
(가) 기술평가 절차 17
(나) 현금흐름할인법 18
2.3 시스템다이내믹스 정의 및 특징 24
2.3.1 시스템다이내믹스 정의 24
2.3.1.1 시스템다이내믹스 방법론 절차 26
3. 시스템다이내믹스 기반의 모델개발 29
3.1 평가요소 정의 29
3.2 시스템다이내믹스 기반 해양안전기술 경제적 가치평가 모델 구축 31
3.2.1 현금흐름 추정 단위 모델 구축 31
3.2.2 할인율 결정 단위 모델 구축 34
3.2.3 기술기여도 산정 단위 모델 구축 37
3.2.4 안전강도 추정 단위 모델 구축 40
3.2.5 가치평가 모델 구축 43
3.3 시스템다이내믹스 기반 해양안전기술 경제적 가치평가 사례 45
3.3.1 수행 사례를 통한 경제적 가치평가 모델의 효용성 검증 45
4. 결 론 50
5. 참고문헌 52
부록 I. 할인율의 구조 56
부록 II. 기술요소법의 산업기술요소 62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