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이석희 (부경대학교, 부경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강용철
발행연도
2018
저작권
부경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1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Zn를 기반으로 한 나노 물질들은 산업적 그리고 과학적으로 응용되며 활발히 연구 되어왔다. 특히, O 와 S, Se과 같은 VI족 원소들과 화학적 결합을 하였을 때 Zn의 응용성은 더욱 유용해진다. 그리고 Al이나 Cu, Sn등은 나노 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조절하기 위하여 첨가 된다. 이러한 나노 물질들 중에서 두께가 나노미터 수준인 박막은 태양 전지나 광전자 소자, 레이저 물질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박막 제작 방법들 중, 고주파 (radio frequency, RF) 스퍼터링법의 장점은 증착율이 높고 흡착력이 강하며, 넓은 면적의 기판에 원하는 물질을 균일하게 증착 할 수 있고, 박막 내 원소들의 화학적 환경과 조성을 조절하기 쉬운 점이다.
본 논문의 2장에서는 RF 마그네트론 다중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Sn이 첨가 된 ZnSn박막을 제작하고 박막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먼저, Zn와 Sn의 비율을 일정하게 하며 다양한 두께의 박막들을 제작하였다. X-선 광전자 분석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결과로부터 ZnSn 박막 내 Zn와 Sn의 상대적인 비율과 Zn 박막이나 Sn 박막에 비해 원소들의 산화상태가 변화한 것을 확인하였다. 4침법 (4 point probe) 측정 결과 ZnSn 박막의 전도성은 단일금속 박막에 비해 약 2배 더 높았으며 뿐만 아니라 두께가 증가할수록 전도성과 결정성 (X선 회절 (X-ray diffraction, XRD) 연구 결과)이 향상 되었다. 그리고 원자력현미경 (atomic force microscope, AFM)과 주사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을 이용하여 박막 표면의 위상적 형태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3장에서는 Sn이 첨가 된 박막의 특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박막들은 Sn의 상대적 비율을 다르게 하여 동일한 두께로 제작되었다. SEM과 AFM 측정 결과 Sn이 첨가되었을 때, 박막의 입자들이 육각형 조각에서 기둥형태로 변하였다. 입자의 모양 변화는 박막의 접촉 각 증가를 유발하였다. 4침법 측정결과 박막의 전도성은 변하였는데 이는 전자 산란의 평균자유행로가 달라졌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Sn이 첨가 되었을 때 입자들의 크기는 커지고 수축응력은 감소하였다. 이는 XRD 결과에 의해 밝혀졌다. XPS 측정으로 Zn와 Sn의 상대적 비율 및 산화상태뿐 아니라 불순물 산소의 존재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가전자대 최대준위 (valence band maximum, VBM)를 계산 하였다. 계산된 VBM과 자외선 광전자 분석 (ultraviolet photoelectron spectroscopy, UPS)으로 얻어진 일 함수 (work function, WF)를 이용하여 상대적 에너지 수준 도표를 제안하였다.
마지막 4장에서는 ZnSe 박막의 특징을 기술하였다. II-VI 족 반도체인 이차 금속 칼코젠 화합물을 연구하기 위하여, RF 마그네트론 다중 스퍼터링법으로 Se 함량을 달리하며 ZnSe 박막들을 제작하였다. Zn와 Se의 상대적 원자 비율은 XPS로 확인하였다. AFM과 SEM 측정 결과 ZnSe 박막 내 Se의 비율이 40% 이상일 때 입자가 성장 하였고 입자의 화학적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에너지 분산 분광법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EDS)을 수행하였다. 입자가 성장한 박막들은 약한 친수성이며 극성이었다. XRD와 4침법 측정 결과 박막은 무정형이었고 전도성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띠 간격 (band gap)은 UV-vis 분광기로 측정 된 투과도로부터 계산 되었다. VBM과 WF은 UPS 결과로부터 얻어졌고 상대적인 에너지 레벨을 추정한 결과 Se이 60% 함유 되었을 때 띠 간격이 가장 넓었다.

목차

CHAPTER I. Theories 1
1.1. Radio frequency (RF) magnetron co-sputtering method 1
1.2. Electron emission spectroscopy 7
1.2.1.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7
1.2.2. Ultraviolet photoelectron spectroscopy (UPS) 14
1.3. Instrument for analysis of thin films 17
1.3.1. X-ray diffraction (XRD) 17
1.3.2. UV-vis spectroscopy 19
1.3.3.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EDS) 20
1.3.4. 4-point probe (4pp) 23
1.3.5. Contact angle measurement (CA) 26
CHAPTER II. Investigation of ZnSn thin films with various thickness fabricated by RF magnetron co-sputtering 28
2.1. Introduction 28
2.2. Experimental details 30
2.3. Results and Discussion 34
2.4. Conclusion 52
CHAPTER III. Investigation of Sn doped Zn thin films with various Sn contents fabricated by RF magnetron co-sputtering 53
3.1. Introduction 53
3.2. Experimental details 55
3.3. Results and Discussion 57
3.4. Conclusion 84
CHAPTER IV. Investigation of ZnSe thin films with various Se contents fabricated by RF magnetron co-sputtering 86
4.1. Introduction 86
4.2. Experimental details 88
4.3. Results and Discussion 92
4.4. Conclusion 122
REFERENCES 123
APPENDICES 133
Appendix 1: Procedure for RF magnetron co-sputtering 133
Appendix 2: Baking the RF sputtering chamber 139
Appendix 3: Vent and pump the RF sputtering chamber 141
Appendix 4: Procedure for UV-vis spectroscopy 143
KOREAN ABSTRACT 147
ACKNOWLEDGEMENT 149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