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전지훈 (경상대학교, 경상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김순오
발행연도
2018
저작권
경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15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4)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비소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유독성 물질 중 독성이 가장 큰 물질로 알려져 있다. 비소오염은 화산활동, 토양 및 암석 기원 등과 같은 자연적인 원인 또는 광산 활동, 산업 및 농업활동과 같은 인위적인 원인으로부터 초래된다. 지하수에서 비소는 유기 또는 무기 비소로 존재하며, 무기 비소는 환원 환경에서 아비산염, 산화 환경에서 비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아비산염은 비산염보다 독성이 25-60배 강하며, 금속(수)산화물의 표면에 흡착이 잘 되지 않아 유동성이 높다.
철, 망간은 국내외 음용수 및 지하수 수질 기준에서 심미적 오염물질로 분류되어 있다. 하지만 많은 양의 철, 망간을 섭취할 경우 기형 유발, 신경성 독성이 발병할 수 있으며, 물맛이 변함에 따라 음용수로서 이용이 제한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지하수 내 존재하는 아비산염의 제거를 위하여 자외선 광원과 자연 상에서 존재하는 철, 망간을 이용한 친환경적인 광촉매 산화 공정의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광원과 광촉매의 특성을 분석하여 아비산염의 제거 양상을 비교하였으며, 아비산염의 광촉매 산화 공정에서의 주요한 영향인자 도출, 지하수 내 존재하는 용존 철, 망간을 이용한 아비산염의 제거 등 세 가지 목표에 따른 실험을 수행하였다.
아비산염의 광촉매 산화 공정에서 최적의 광촉매 투여량을 선정하기 위한 실험 수행 결과 0.05 g/L의 투여량에서 아비산염의 제거 효율이 91.1 %로 가장 높았으며, 0.05 g/L 이상의 광촉매 투여 시 용액의 탁도를 증가시켜 아비산염의 제거효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광원의 종류 및 파장에 따른 아비산염의 산화 효율 비교실험 결과 자외선램프가 자외선 LED에 비하여 높은 아비산염의 제거효율을 보였으며, 겉보기 제거 효율은 UVC>UVA>UVB>365 nm LED 순으로 높은 제거효율을 보였다. 하지만 제거효율을 표준화하여 평가하기 위하여 자외선 방사량 당 아비산염의 제거량과 전력 소모량 당 아비산염의 제거량을 산출한 결과 자외선 LED가 자외선램프보다 매우 높은 제거효율을 보였다.
아비산염의 광촉매 산화 공정에서 다양한 인자들이 광촉매 산화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우선 pH가 높은 환경에서 아비산염을 비산염으로 산화시키는 수산기라디칼(OH?)이 주로 생성되고 낮은 pH 환경에서는 수산기라디칼이 비교적 느리게 생성되기 때문에 아비산염의 광촉매 산화 효율은 높은 pH 환경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아비산염과 비산염의 혼합비에 따른 실험에서는 두 오염물질이 공존해도 아비산염의 광산화 공정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아비산염의 광촉매 산화 공정에서 1 mg/L 이하의 휴믹산을 투여할 경우 광산화 공정에 미치는 영향이 없었지만, 5 mg/L 농도의 휴믹산을 투여할 경우 수산기라디칼, 슈퍼옥사이드 음이온라디칼(O2?-)과 휴믹산의 반응이 증가하여 아비산염의 광촉매산화 효율이 감소하였다. 또한 산소를 주입하였을 때 산소가 전자 수용체 역할을 하여 아비산염의 광촉매 산화 효율이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수 내 자연 상으로 존재하는 용존 철, 망간을 이용한 아비산염의 제거공정에 대한 실험결과, 용존 상으로 존재하는 철, 망간이 광산화 반응을 통해 침철석(FeOOH), 자철석(Fe3O4), 하우스먼나이트(Mn3O4) 등과 같은 산화물 형태로 산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아비산염의 제거 공정 동안 용존 철, 망간으로부터 생성된 철, 망간 침전물이 광촉매 및 산화제로 적용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아비산염의 광촉매 산화 공정 동안 철, 망간 침전물의 입자에 흡착된 아비산염의 산화 상태를 분석결과 흡착된 아비산염 또한 비산염으로 산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아비산염의 광촉매 산화 공정에서 심미적 오염물질로 분류된 철, 망간을 침전시켜 제거시킴과 동시에 생성된 철, 망간 침전물을 광촉매로 사용하여 아비산염과 철, 망간으로 오염된 지하수를 친환경적인 동시 제거공법으로 정화시키는데 적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광촉매 산화 공정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자외선램프를 대신하여 자외선 LED를 광원으로 사용할 경우 광산화 공정의 경제성 및 공정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Ⅰ. 연구배경 및 목적 1
Ⅱ. 배경이론 4
1. 광산화 기술의 기본 원리 4
2. 침철석 광촉매를 이용한 아비산염의 산화 5
3. 용존 상 철, 망간을 이용한 아비산염의 산화 7
1) 철 침전물 7
2) 망간 침전물 8
3) 철/망간 침전물 9
Ⅲ. 연구재료 및 연구방법 11
1. 실험 재료 11
1) 광원(UV Lamp, UV LED) 11
2) 침철석 광촉매 13
3) 용존 상 철, 망간 침전물 13
(1) 철 침전물 13
(2) 망간 침전물 13
(3) 철/망간 침전물 14
2. 실험 장치 14
3. 분석 방법 16
1) 광원의 특성 분석 16
2) 침철석 광촉매 특성 분석 16
3) 용존 상 철, 망간 침전물 특성 분석 17
4) 아비산염의 농도 분석 17
5) 흡착된 아비산염의 산화 상태 분석 17
4. 연구 방법 19
1) 최적의 침철석 투여량 선정 실험 19
2) 침철석 광촉매 산화를 이용한 아비산염 제거 실험 19
(1) 광원의 종류 및 파장에 따른 비교 실험 19
(2) 흡착된 아비산염의 광촉매 산화 실험 20
3) 침철석 광촉매를 이용한 산화 공정의 영향 인자 도출 20
(1) 타 용존 이온 및 pH에 따른 광촉매 산화 실험 20
(2) 초기 비소농도에 따른 광촉매 산화 실험 21
(3) 아비산염과 비산염의 혼합비에 따른 광촉매 산화 실험 21
(4) 휴믹산의 영향평가 실험 21
(5) 가스 종류 및 산소 주입량에 따른 광산화 실험 22
4) 용존 상 철,망간을 이용한 아비산염 제거 실험 22
(1) 철 침전물을 이용한 아비산염의 산화 실험 22
(2) 망간 침전물을 이용한 아비산염의 산화 실험 23
(3) 철/망간 침전물을 이용한 아비산염의 산화 실험 23
(4) 철 침전물에 흡착된 아비산염의 산화 실험 23
(5) 망간 침전물에 흡착된 아비산염의 광촉매 산화 실험 24
(6) 철/망간 침전물에 흡착된 아비산염의 광촉매 산화 실험 24
Ⅳ. 연구결과 및 토의 25
1. 광원의 특성 25
2. 침철석 광촉매 특성 27
3. 용존 상 철, 망간 침전물의 특성 29
4. 최적의 침철석 투여량 37
5. 침철석 광촉매를 이용한 아비산염 제거 38
1) 광원의 종류 및 파장에 따른 비교 38
2) 흡착된 아비산염의 광촉매 산화 42
6. 침철석 광촉매를 이용한 산화 공정의 영향 인자 도출 45
1) 타 용존 이온 및 pH에 따른 광촉매 산화 45
2) 초기 비소농도에 따른 광촉매 산화 49
3) 아비산염과 비산염의 혼합비에 따른 광촉매 산화 51
4) 휴믹산의 영향 53
5) 가스 종류 및 산소 주입량에 따른 광산화 55
6. 용존 상 철, 망간 침전물을 이용한 아비산염 제거 57
1) 철 침전물을 이용한 아비산염의 산화 57
2) 망간 침전물을 이용한 아비산염의 산화 58
3) 철/망간 침전물을 이용한 아비산염의 산화 59
4) 철 침전물에 흡착된 아비산염의 산화 60
5) 망간 침전물에 흡착된 아비산염의 산화 62
6) 철/망간 침전물에 흡착된 아비산염의 광촉매 산화 64
Ⅴ. 결론 68
참고문헌 71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