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Library .. Notice
Institutional Access
If you certify, you can access the articles for free.
Check out your institutions.
ex)Hankuk University, Nuri Motors
Log in Register Help KOR
Subject

Recommendations
Search

논문 기본 정보

Type
Thesis
Author

류지현 (삼육대학교, 삼육대학교 대학원)

Adviser
서경현
Issue Year
2018
Copyright
삼육대학교 thesis is protected by copyright.

Usage16

cover
Ask AI
Recommendations
Search

Research history (2)

  • Are you curious about the follow-up research of this article?
  • You can check more advanced research results through related academic papers or academic presentations.
  • Check the research history of this article

Abstract· Keywords

Report Errors
국문초록
자기노출, 긍정적 사회반응, 의도적 반추 및 삶의 의미와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

류 지 현
삼육대학교 대학원
상담심리학과 상담심리전공

본 연구는 자기노출, 긍정적 사회반응, 의도적 반추 및 삶의 의미와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성인 남녀 320명(남:108명, 여:210명)을 대상으로 조사 하였다. 측정도구로는 한국판 사건 관련 반추척도와 자기노출척도, 한국판 사회적 반응척도에서 긍정적 사회반응척도만 사용하였고, 삶의 의미척도와 한국판 외상 후 성장척도(K-PTGI)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독립표본 t-검증, 분산분석(ANOVA),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 단계적,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째, 먼저 일반적인 특성에서 나타난 결과를 보면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 여자의 경우가 긍정적 사회반응과 외상 후 성장의 하위요인인 삶에 대한 감사에서 높은 편 이었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종교 유무에 다른 변인을 분석한 종교가 있는 경우에 삶의 의미와 외상 후 성장이 더 유의하며 그중에서도 의미발견과 새로운 가능성의 발견, 영적인 관심변화가 유의하게 보고되었다. 셋째, 자기노출, 긍정적 사회반응, 의도적 반추 및 삶의 의미 중에서 어떤 요인이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결과, 삶의 의미가 가장 높게 설명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의미발견이 영향을 많이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관관계에서는 외상 후 성장과 자기노출이 유의하였다. 하지만 중다회귀분석에서 외상 후 성장과 자기노출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한 결과, 자기노출이 긍정적 사회반응을 부분매개효과로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을 하자면, 변인 중에 외상 후 성장에 가장 영향을 끼친 요인으로는 삶의 의미발견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노출은 외상 후 성장에 나아가는 관문으로써 요인으로, 외상경험자들이 자기노출을 할 때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반응과 공감과 수용이 필요하며 이때 외상 후 성장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본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고 후속연구의 제언을 하였다.

주요어: 자기노출, 긍정적 사회반응, 의도적 반추, 삶의 의미, 외상 후 성장

Contents

목 차
목차 i
표 목차 iv
국문초록 vi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용어의 정의 6
1. 외상 후 성장 6
2. 자기노출 6
3. 긍정적 사회반응 6
4. 의도적 반추 7
5. 삶의 의미 7
Ⅱ. 이론적 배경 9
A. 외상 후 성장 9
1. 외상 후 성장의 개념 9
2. 외상 후 성장 이론 10
B. 외상 후 성장의 사회문화적 요인 11
1. 외상 후 성장과 자기노출 12
2. 외상 후 성장과 긍정적 사회반응 13
C. 외상 후 성장의 인지적 변인 14
1. 외상 후 성장과 의도적 반추 14
2. 외상 후 성장과 삶의 의미발견 16
Ⅲ. 연구방법 18
A. 연구 대상 18
B. 연구 절차 19
C. 연구 도구 20
D. 자료 분석 방법 23
Ⅳ. 연구 결과 24
A. 자기노출, 긍정적 사회반응, 의도적 반추 및 삶의 의미와 외상 후 성장의 정규성 검증 24
B. 외상사건 유형 25
C.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구변인의 차이 27
D. 외상 빈도, 충격사건 강도, 의도적 반추, 긍정적 사회반응 및 삶의 의미 및 하위요인과 외상 후 성장 간의 상관관계 34
E. 외상 빈도, 충격사건 강도, 의도적 반추, 긍정적 사회반응 및 삶의 의미 및 외상 후 성장 간의 상관관계 37
F. 자기노출, 긍정적 사회반응, 의도적 반추, 삶의 의미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39
Ⅴ. 결론 42
A. 요약 42
B. 논의 46
C. 제언 50
참 고 문 헌 52
부 록 58
ABSTRACT 67

Recently viewed articles

View more

Comments(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