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4
2017
제1장. 서론 1제2장. 이론적 배경 32-1. 전기화학적 폐수처리법 32-1-1. 전기화학적 폐수처리법의 개요 32-1-2. Boron-doped diamond(BDD) 전극 42-2. 스퍼터링 (sputtering) 62-2-1. 스퍼터링의 개요 62-2-2-1. DC 글로우 방전 (DC glow discharge) 62-2-2-2. 스퍼터링 기구 72-2-2-3. 스퍼터율 (sputtering yield) 82-2-2-4. DC 스퍼터링법 152-2-2-5.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 (magnetron sputtering) 202-2-2-6. 반응성 스퍼터링법 232-3. 열 필라멘트 화학적 기상 증착법 (HF-CVD) 242-3-1. 열 필라멘트 화학적 기상 증착법(HF-CVD)의 개요 242-3-2. HF-CVD 공정에 영향을 주는 인자 25제3장. 실험장치 구성 및 방법 263-1. Ti 기판의 전처리 263-2. TiNx 중간층 증착 273-2-1. 반응성 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시스템 273-2-2. 박막의 특성 평가 293-2-2-1. TiNx 박막의 두께 및 증착율 평가 293-2-2-2. TiNx 박막의 I-V 특성 평가 303-3. BDD 전극층 증착 313-3-1. HF-CVD 시스템 313-1-1-1. BDD 전극 증착 313-4. BDD 전극의 특성 평가 333-4-1. BDD 전극의 표면 형상 관찰 333-4-2. BDD 전극의 미세구조 평가 353-4-2.1 BDD 전극의 CV 특성 평가 373-4-2.2 BDD 전극의 COD 분해능 평가 39제4장. 실험결과 및 고찰 404-1. Ti 기판의 전처리 최적화 404-1-1. Ti 기판의 etching 조건 최적화 404-1-2. Ti 기판의 seeding 조건 최적화 444-2. TiNx 중간층의 특성 474.2.1. TiNx 중간층의 증착율 474.2.2. TiNx 중간층의 I-V 특성 494.2.3. TiNx 중간층의 표면 형상 504.3. BDD 전극의 특성 514.3.1. BDD 전극의 표면 형상 514.3.2. BDD 전극의 CV 특성 544.3.3. BDD 전극의 미세구조 특성 564.3.4. BDD 전극의 COD 분해능 58제5장. 결론 60References 62Abstract 6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