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최민우 (공주대학교, 공주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이상현
발행연도
2019
저작권
공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12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5)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미세먼지는 세계보건기구 (WHO)에서 지정한 1급 발암물질로 건강에 중대한 위험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최근 미세먼지 농도는 OECD 국가들 중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 규모 대기질 모형인 WRF-Chem과 WRF/CMAQ의 동아시아와 한반도 지역의 미세먼지 모의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두 모형의 기상 물리 과정은 동일하게 설정하였으며, 기상 초기/경계 조건은 NCEP-FNL 재분석 자료를 사용하였다. 인위적 배출량과 자연 배출량은 MICS-Asia 2010과 MEGAN-2를 각각 이용하였다. WRF-Chem 모형의 기체/입자상 메커니즘은 RACM/MADE/SORGAM을 적용하였으며, WRF/CMAQ 모형은 SARPC-99/AERO5를 적용하였다. 동아시아 권역 별 PM2.5 농도는 WRF-Chem 모형이 WRF/CMAQ 모형보다 화남 (110%), 한국 (80%), 일본 (200%)에서 높게 모의하였다. WRF/CMAQ이 WRF-Chem 모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SO42- 농도를 보였으나, NO3-, NH4+, OA, EC는 WRF-Chem이 높게 모의하는 특징을 보였다. 이는 2차 무기 에어로졸 성분의 강수에 대한 높은 민감도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강수일과 비 강수일로 구분하면, 두 모형 간 PM2.5와 화학 성분 농도는 비강수일에 비해 강수일에 큰 차이를 보였다. 서울 지역 측정 농도와 비교하였을 때, WRF-Chem이 WRF/CMAQ 모형보다 PM2.5 농도를 더 잘 모의하였으나, OA, SO42-의 과소 모의, NO3-의 과대 모의 특성을 보였다.

목차

I. 서론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3
II. 연구 방법 4
1. 대기질 모형 4
2. 실험 설계 6
3. 측정 자료 14
4. 통계적 검증 방법 16
III. 결과 17
1. 기상장 검증 17
2. 동아시아 지역 지상 PM2.5 농도 분포 22
3. 한반도 주요 도시 지역 지상 PM2.5 농도 31
IV. 요약 및 결론 40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