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류민열 (홍익대학교, 홍익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박성진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홍익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338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전 세계 자동차 생산 업체는 에너지 고갈과 환경 문제로 강화된 연비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xEV와 같은 친환경 차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그 중 전기 자동차는 외부 충전기로 송전 되는 전기가 친환경 전력원에서 발생한다면 진정한 의미의 친환경 차로 사용될 수 있으며, 내연기관보다 운행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전기자동차는 동력의 상당 부분을 리튬이온 배터리가 담당하며, 주행거리를 늘리기 위해 주로 수백 개의 셀이 직·병렬로 연결되어있는 대용량 배터리 팩을 사용된다. 그러나 배터리 팩의 셀 평균 온도를 적절히 유지하지 못하거나, 셀 간 온도 편차를 줄이지 못한다면 높은 온도로 인한 폭발이나 충?방전 효율저하, 셀 간 내부저항 불균형이 생긴다. 따라서 다양한 운전조건과 과도적인 출력 상황에서도 배터리의 안전과 수명 확보를 위한, 배터리 열관리 시스템은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 배터리 셀의 전기적, 열적 특성과 차량 주행 사이클에서의 배터리 팩의 냉각 특성에 관해 연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차량용 리튬이온 배터리 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배터리 셀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배터리 SOC(State of Charge)에 따른 셀의 내부저항과 개회로 전압(Open Circuit Voltage)와 같은 전기적 특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배터리 발열량 측정을 위해 배터리 셀 표면에 열전대(Thermocouple)와 열 유속 센서(Heat Flux Sensor)를 부착하여 발열량 측정하였고, 배터리 셀의 SOC와 C-rate, 온도, 충·방전 전류 파형에 따른 발열량을 측정하였다.
둘째, 배터리 팩 열관리 시스템 (BTMS: Battery Thermal Management System)의 냉각 특성을 분석하였다. MATLAB-Simulink를 이용해 배터리 팩의 운전조건, 배터리 팩의 기하학적 디자인, 물성을 반영할 수 있는 1-D 동적모델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Parametric study를 통해 운전조건이나 배터리 팩의 기하학적 디자인에 따른 배터리 팩 내의 최대 온도 편차, 국부적 최대 온도편차, 압력강하, 열전달률 등을 분석하였다.
셋째, 전기자동차 열관리 시스템을 포함한 전기자동차 통합 모델을 구축하였다. 모델링은 1-D 파워트레인 소프트웨어 GT-Suite를 이용했으며, 크게 전기 자동차 파워트레인 모델과 통합 열관리 모델로 구성하였다. 모터, 배터리, A/C 시스템, 냉각수 루프로 구성되어있으며. 각 컴포넌트는 시뮬레이션의 계산 부하와 중요성을 고려하여 성능 맵 모델, 수치 해석적 모델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모델링 되었다.
마지막으로 MATLAB-Simulink로 개발한 BTMS 모델과 GT-Suite로 구성한 전기자동차 모델을 통합하여, 차량 주행 사이클에서 외기 온도와 제어 기준에 따른 배터리 셀 국부적 최대·최소 온도, 배터리 칠러 작동 시간과 같은 냉각 시스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배터리 셀의 SOC에 따른 열 발생률은 S 커브 형태로 나타남을 확인하였고, 배터리 팩 내 셀 온도나 온도 분포는 배터리 셀 발열 특징과 배터리 팩의 디자인, 운전 조건에 영향을 받으며, 비대칭 팩에서는 셀 개수와 형태에 맞는 냉각수 유량분배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또한, 차량주행 조건, 외기온도에 맞는 BTMS 제어 기준(열전대 위치) 설정과 제어 알고리즘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목차

제 1 장 서론 1
1.1 연구 배경 1
1.2 연구 목적 3
제 2 장 배터리 열관리 시스템 5
2.1 2차 전지의 종류 5
2.2 배터리 발열 9
2.2.1 비가역 열 11
2.2.2 가역 열 11
2.3 배터리 열관리 시스템 종류 13
2.3.1 직접냉각방식과 간접냉각방식 14
2.3.2 수동냉각방식과 능동냉각방식 16
2.3.3 기타 냉각 방식 18
제 3 장 배터리 실험 19
3.1 실험 장치 21
3.1.1 리튬 이온 배터리 셀 21
3.1.2 샐 탭 연결부 장치 22
3.1.3 충방전기 및 환경 챔버, PXI 23
3.1.4 열전대 26
3.1.5 열유속 센서 (Heat flux sensor) 27
3.1.6 전기 히터 31
3.2 배터리 전기적 특성 실험 32
3.2.1 입출력 신호 32
3.2.2 배터리 전기적 특성 실험 방법 33
3.2.3 배터리 전기적 특성 실험 결과 35
3.2.3.1 배터리 셀 파라미터 추출 36
3.2.3.2 배터리 셀 OCV(Open Circuit Voltage) 추출 39
3.3 배터리 셀 발열량 측정 실험 40
3.3.1 배터리 셀 발열량 측정 방법 40
3.3.2 배터리 셀 발열량 측정 검증 44
3.3.2.1 전기 히터 발열량 측정 준비 44
3.3.2.2 전기 히터 발열량 측정 결과 50
3.3.3 배터리 셀 발열량 측정 55
3.3.3.1 배터리 셀 발열량 측정 준비 55
3.3.3.2 배터리 셀 발열량 측정 case 60
3.3.3.3 배터리 셀 발열량 측정 (정전류 충방전) 62
3.3.3.4 배터리 셀 발열량 측정 (SOC 10% Step) 76
3.3.3.5 배터리 셀 발열량 측정 (전류 파형별) 79
제 4 장 배터리 팩 열관리 시스템 모델 82
4.1 배터리 팩 열관리 시스템(BTMS) 모델 83
4.1.1 BTMS 모델링 방법 84
4.1.2 BTMS 모델 검증 90
4.2 BTMS Parametric study 92
4.2.1 BTMS Parametric study (열 발생률) 95
4.2.2 BTMS Parametric study (냉각수 유량) 96
4.2.3 BTMS Parametric study (냉각수 입구 온도) 99
4.2.4 BTMS Parametric study (외기 온도) 101
4.2.5 BTMS Parametric study (냉각핀 두께) 102
4.2.6 BTMS Parametric study (냉각핀 재질) 104
제 5 장 전기자동차 통합 열관리 시스템 모델 106
5.1 전기자동차 파워트레인 모델 108
5.1.1 모터 (Motor) 109
5.1.2 배터리 (Battery) 111
5.2 통합 열관리 시스템 모델 113
5.2.1 냉매 루프 & 냉각수 루프 115
5.2.2 냉배 루프 (Refrigerant loop) 116
5.2.2.1 압축기 (Compressor) 116
5.2.2.2 팽창 밸브 (Expansion valve) 118
5.2.2.3 증발기, 응축기 (Evaporator, Condenser) 118
5.2.3 냉각수 루프 (Coolant loop) 120
5.2.3.1 냉각수 펌프, 냉각팬 (Coolant pump, Cooling fan) 120
5.2.2.2 배터리 칠러 (Battery Chiller) 121
5.3 차량 주행 사이클에서의 배터리 팩 냉각 특성 122
5.3.1 Highway Fuel Economy Test Cycle (HWFET) 122
5.3.2 외기 온도에 따른 냉각 특성 125
5.3.3 제어 기준 변경에 따른 냉각 특성 (국부적 최저 온도 제어) 128
5.4 배터리 셀 온도/온도 편차 메커니즘 131
제 6 장 결론 132
참고문헌 134
영문 요약(Abstract) 142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