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김성민 (부산대학교, 부산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김유근
발행연도
2019
저작권
부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11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에서 가장 규모가 큰 갯벌 분포를 갖는 경기만을 포함하는 수도권지역을 중심으로 갯벌의 토지피복 변화가 오존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기 위해 WRF와 CMAQ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갯벌의 면적은 환경공간정보서비스(EGIS)와 해양수산부(MOF)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이용하여 912km2로 계산하였다. 갯벌의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오존농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3개의 실험을 구성하였다. 각 실험은 (1) coastal wetlands (i.e. EXP-BASE), (2) 만조를 의미하는 water bodies (i.e. EXP-HIGH), (3) 간조를 의미하는 barren or sparsely vegetated (i.e. EXP-LOW)로 설계하였다. coastal wetlands의 물리적 성질은 WRF의 herbaceous wetland의 토양 열용량, 거칠기 길이, 알베도, 토양 수분량을 개선하여 적용하였다. 만조에 의한 영향(EXP-HIGH와 EXP-BASE의 차이)은 연안지역에서 주간에 기온이 최대 ?4.5 ℃ 감소하였고, PBL 고도는 최대 ?1200 m 감소, 습도는 최대 + 25% 증가, 풍속 또한 최대 +1.5 ms-1증가하였다. 이러한 기상학적인 변화는 갯벌을 포함한 연안지역을 중심으로 오존 농도가 최대 5.0 ppb 증가하였고, 내륙지역에서는 영향이 미미하였다. 만조시 오존농도의 증가는 기온감소로 인해 PBL고도가 낮게 발달되어 오존이 상층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지표 인근에 축적된 것으로 사료되며, 연안인근의 풍속 증가로 인해 내륙지역까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간조의 영향(EXP-LOW와 EXP-BASE의 차이)은 일부 내륙지역에 약간의 차이(최대 3.0 ppb)를 보였지만 만조의 영향에 비해 작게 나타났다. 기본 실험인 EXP-BASE에서 관측값보다 낮은 오존농도를 모의하고 고농도가 나타나는 지역도 약간 차이를 보였는데, EXP-HIGH에서는 약간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갯벌, 만조, 간조로 토지피복을 변화시킨 모델링 연구를 통해 서해 갯벌의 조석효과가 갯벌을 포함한 인근 연안지역과 수도권 일부 내륙지역에 기상학적인 변화와 오존농도 분포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목 차 ⅰ
List of Tables ⅱ
List of Figures ⅲ
요약 ⅴ
제 1장. 서론 1
제 2장. 연구방법 4
2.1. 모델 개요 및 모델링 방법 4
2.1.1. WRF 모델 개요 4
2.1.2. CMAQ 모델 개요 6
2.1.3. 모델링 방법 8
2.2. 실험 설계 및 연구방법 16
제 3장. 기상 변화가 오존 농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19
3.1. 모델 검증 19
3.2. 기상 및 오존 농도 변화 분석 27
3.2.1. 기상 변화 분석 27
3.2.2. 오존 농도 변화 분석 31
3.3. 만/간조시 일 최고 오존 농도 분석 33
제 4장. 결론 41
참고 문헌 43
Abstract 50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