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박진우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한동섭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양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391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4)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전 세계적으로 가짜 뉴스(fake news)의 생산과 수용(acceptance), 전파(diffusion)의 심각성이 정치사회적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2016년 옥스퍼드 영어사전에서는 ‘탈진실(post-truth)’을 올해의 가장 영향력 있는 단어로 선정하였고, 2017년 세계신문협회(WAN-IFRA)에서는 가장 주목할 만한 저널리즘 현상으로 ‘가짜 뉴스의 확산’을 꼽았다. 하지만 학계와 언론계에선 아직까지 가짜 뉴스에 대한 정확한 개념 정의조차도 내리지 못하는 상황이다. 또한 가짜 뉴스에 대한 선행 연구들 역시 대부분 현상을 파악하기 위한 기술적 논의에 머무르고 있으며, 뉴스 수용자들의 가짜 뉴스 이용과 확산을 설명하려는 목적을 가진 실증 연구 역시 탐색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런 상황에서 뉴스 수용자들의 가짜 뉴스 수용과 전파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했다.
특히 한국에선 가짜 뉴스 사이트에서 가짜 뉴스가 생산되고 전파되는 현상보다 주류 언론(news media)에서 사실 확인을 하지 않은 오보를 통해서, 혹은 정파적 입장에 따른 고의적인 왜곡을 통한 가짜 뉴스 생산과 전파가 더욱 문제가 되고 있다. 공신력 있는 주류 언론을 통해 전파되는 가짜 뉴스는 가짜 뉴스 사이트보다 더욱 클 수 있다. 또한 주류 언론의 정파적(partisan) 성격에 대한 수용자들의 지각이 가짜 뉴스 수용과 전파를 설명하는 핵심적 요인이 될 수 있다.
한편 소셜 미디어는 주류 언론과 같이 특정 언론사를 통해 가짜 뉴스를 접하기 보다는 소셜 미디어 이용자가 스스로 구축한 소셜 네트워크 정보 환경에서 가짜 뉴스를 접한다는 본질적으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소셜 미디어 상에서 유통되는 가짜 뉴스 수용과 전파가 뉴스 수용자의 소셜 미디어 정보 환경 인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이런 맥락을 고려해 ‘인터넷 환경에서 주류 언론이 생산한 가짜 뉴스 수용과 전파에 관한 연구(연구 1)’와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유통되는 가짜 뉴스 수용에 관한 연구(연구 2)’를 독립적으로 진행하였다.
주류 언론이 생산한 가짜 뉴스 수용과 전파에 미치는 심리적 요인 규명을 위해 뉴스 수용자의 편향적 매체 지각 현상인 적대적 매체 지각(hostile media effect)과 편향적 정보처리 현상인 동기화된 추론(motivated reasoning)을 이론적 근거로 삼아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언론사의 정파적 성격과 뉴스 수용자의 정치적 성향의 일치 여부와 가짜 뉴스의 이슈 내용과 수용자의 이슈 신념이 일치 여부가 가짜 뉴스 수용과 전파에 미치는 강력한 주효과(main effect)가 검증되었다. 또한 두 개의 독립변인이 가짜 뉴스 인식, 확증 편향 인식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interaction effect)도 실증적으로 검증했다. 이를 통해 실제 뉴스의 맥락에서도 부정적 파급효과를 낳을 수 있는 뉴스 수용자의 편향적 매체 지각과 편향적 정보 처리 현상이 가짜 뉴스 식별 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유통되는 가짜 뉴스 수용과 전파에 미치는 심리적 요인 규명을 위해 뉴스 수용자의 소셜 미디어 정보 환경 인식 요인인 인지된 네트워크 동질성(cognitive network homophily), 인지된 네트워크 유대 강도(cognitive tie strength)와 ‘연구 1’에서 가짜 뉴스 수용과 전파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가짜 뉴스의 이슈 내용과 수용자의 이슈 신념 일치 여부를 독립변인으로 설정했다. 연구 결과 소셜 미디어 정보 환경 인식 중 네트워크 유대 강도 인식이 가짜 뉴스 수용과 전파에 미치는 강력한 주효과가 검증되었고, 네트워크 동질성 인식이 가짜 뉴스 구전 의도에 미치는 주효과가 검증되었다. 또한 인지된 네트워크 동질성, 유대 강도, 이슈 신념 일치 여부가 가짜 뉴스 수용과 전파에 미치는 다양한 상호작용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런 다양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목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1
제2절 연구의 구성 6
제2장 연구의 배경 9
제1절 가짜 뉴스의 정의와 범주 9
제2절 가짜 뉴스의 현황과 문제점 20
제3절 저널리즘 차원에서의 가짜 뉴스 생산 33
제4절 저널리즘의 위기가 가짜 뉴스 수용과 확산에 미치는 영향 41
제3장 인터넷 환경에서의 주류 언론이 생산한 가짜 뉴스 수용에 관한 연구 (연구 1) 47
제1절 이론적 배경 47
1. 뉴스 수용자의 편향적 매체 지각 47
2. 동기화 추론을 통한 편향적 정보 처리 53
제2절 연구가설 및 연구문제 58
제3절 실험 연구 방법 및 변인 측정 63
1. 연구 설계 및 표본 63
2. 실험처치물 66
3. 변인 측정 73
4. 분석 방법 75
제4절 연구 결과 및 소결 76
1. 조작 검증 결과 76
2. 연구 결과 77
3. 소결 90
제4장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유통되는 가짜 뉴스 수용에 관한 연구(연구 2) 93
제1절 이론적 배경 93
1.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의 정보 처리 93
2. 인지된 네트워크 동질성 95
3. 인지된 네트워크 유대강도 99
제2절 연구가설 및 연구문제 102
제3절 실험 연구 방법 및 변인 측정 110
1. 연구 설계 110
2. 실험처치물 113
3. 변인 측정 116
4. 분석 방법 119
제4절 연구 결과 및 소결 119
1. 연구 결과 119
2. 소결 146
제5장 결론 및 함의 149
제1절 결론 및 논의 149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 제언 164
참고문헌 166
부록 1 설문지 191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