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391
2021
제1장 서 론 1제1절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1제2절 연구의 구성 6제2장 연구의 배경 9제1절 가짜 뉴스의 정의와 범주 9제2절 가짜 뉴스의 현황과 문제점 20제3절 저널리즘 차원에서의 가짜 뉴스 생산 33제4절 저널리즘의 위기가 가짜 뉴스 수용과 확산에 미치는 영향 41제3장 인터넷 환경에서의 주류 언론이 생산한 가짜 뉴스 수용에 관한 연구 (연구 1) 47제1절 이론적 배경 471. 뉴스 수용자의 편향적 매체 지각 472. 동기화 추론을 통한 편향적 정보 처리 53제2절 연구가설 및 연구문제 58제3절 실험 연구 방법 및 변인 측정 631. 연구 설계 및 표본 632. 실험처치물 663. 변인 측정 734. 분석 방법 75제4절 연구 결과 및 소결 761. 조작 검증 결과 762. 연구 결과 773. 소결 90제4장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유통되는 가짜 뉴스 수용에 관한 연구(연구 2) 93제1절 이론적 배경 931.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의 정보 처리 932. 인지된 네트워크 동질성 953. 인지된 네트워크 유대강도 99제2절 연구가설 및 연구문제 102제3절 실험 연구 방법 및 변인 측정 1101. 연구 설계 1102. 실험처치물 1133. 변인 측정 1164. 분석 방법 119제4절 연구 결과 및 소결 1191. 연구 결과 1192. 소결 146제5장 결론 및 함의 149제1절 결론 및 논의 149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 제언 164참고문헌 166부록 1 설문지 19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