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박종덕 (남부대학교, 남부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정현주
발행연도
2019
저작권
남부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31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국문초록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 환자안전태도 및 자기효능감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박 종 덕
지도교수 : 정 현 주
간호학과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 환자안전태도 및 자기효능감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J도에 소재한 100병상 이상 300병상 미만의 중소병원 5곳을 임의로 선정하였으며 중소병원 근무경력이 3개월 이상인 191명의 간호사를 임의 표출하였다.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8년 8월 1일부터 2018년 9월 31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 환자안전문화인식은 AHRQ(2004)에서 개발한 도구를 김정은 등(2007)이 한글로 번역하여 수정한 도구를, 환자안전태도는 박미정 등(2013)이 개발한 것을 김혜연(2016)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자기효능감은 Sherer et al(1982)이 개발한 것을 정애순(2007)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환자안전간호활동은 이금옥(2009)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평균편차,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소병원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은 여자가 188명(98.4%)으로 가장 많았고, 연령은 20대가 88명(46.1%)으로 가장 많았으며, 결혼은 기혼이 96명(50.3%), 교육정도는 전문학사가 99명(51.8%)으로 가장 많았다. 병원 경력은 1년-5년 미만이 56명(29.3%), 근무지 경력은 1년-5년 미만이 94명(49.2%)으로 가장 많았으며, 근무부서는 외과계 병동 62명(32.5%), 내과계 병동 55명(28.8%), 외래 및 기타 40명(20.9%), 중환자실?수술실?응급실 34명(17.8%) 순이었다. 직위는 일반 간호사가 146명(76.4%)으로 가장 많았으며, 환자안전관리 연수경험 유무는 경험 있음이 148명(77.5%)이었다.

2.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58±.36점, 환자안전태도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75±.51점, 자기효능감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72±.54점이었으며, 환자안전관리활동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83±.49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인식, 환자안전태도, 자기효능감, 환자안전관리활동을 보면,
가. 환자안전문화인식은 모든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나. 환자안전태도는 연령(t=6.75, p<.001), 결혼여부(t=-4.73, p<.001), 교육정도(t=5.43, p=.005), 병원경력(t=3.12, p=.016), 직위(t=4.11, p=.018), 근무형태(t=8.04, p<.001)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 자기효능감은 연령(t=9.98, p<.001), 결혼여부(t=-5.65, p<.001), 교육정도(t=7.74, p=.001), 병원경력(t=5.38, p<.001), 근무지경력(t=4.40, p=002), 직위(t=5.62, p=.004), 근무형태(t=14.07,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라. 환자안전관리활동은 연령(t=3.58, p=.015), 결혼여부(t=-3.69, p<.001), 교육정도 (t=5.52, p=.005), 병원경력(t=3.68, p=.007), 근무형태(t=6.33, p=.002)에서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환자안전관리활동은 환자안전문화인식(r=.38, p<.01), 환자안전태도(r=.59, p<.01), 자기효능감(r=.53, p<.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환자안전문화인식은 환자안전태도(r=.58, p<.01), 자기효능감(r=.35 p<.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환자안전태도와 자기효능감(r=.55 p<.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중소병원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환자안전문화인식, 환자안전태도, 자기효능감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회귀모형 검증결과(F=16.23, p<.001)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환자안전태도(β=.405, p<.001)와 자기효능감(β=.272,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였으며 이 변수들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대한 설명력은 41.8%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대상자의 환자안전태도와 자기효능감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경력과 근무지 경력이 낮은 일반간호사들의 환자안전문화인식, 환자안전태도 및 자기효능감이 상대적으로 낮아 이들을 대상으로 환자안전에 대한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교육과 자기효능감을 증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주요어 : 환자안전문화인식, 환자안전태도, 자기효능감, 환자안전관리활동, 중소병원 간호사

목차

목 차
국문초록 ⅳ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목적 3
3. 용어정의 4
∏. 문헌고찰 6
1. 환자안전문화인식 6
2. 환자안전태도 10
3. 자기효능감 11
4. 환자안전관리활동 13
Ⅲ. 연구방법 16
1. 연구설계 16
2. 연구대상 16
3. 연구도구 17
4. 자료수집 19
5. 자료분석 19
6. 윤리적 고려 20
Ⅳ. 연구결과 21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1
2. 환자안전문화인식, 환자안전태도, 자기효능감 및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정도 23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수의 차이 24
가.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인식 차이 24
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태도 차이 26
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 차이 28
라.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관리활동 차이 30
4. 환자안전문화인식, 환자안전태도, 자기효능감 및 환자안전관리
활동 간의 상관관계 32
5.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3
Ⅴ. 논의 35
Ⅵ. 결론 및 제언 43
1. 결론 43
2. 제언 45
참고문헌 46
Abstract 54
부록 58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