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조성준 (한남대학교, 한남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권성준
발행연도
2020
저작권
한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14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콘크리트 탄산화는 대표적인 열화인자 중 하나인데 높은 농도의 이산화탄소에 장기적인 노출이나 산성비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게 되며,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 부식을 야기한다. 콘크리트 타설시 시공 지연 및 작업 환경에 따라 콜드조인트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발생된 콜드조인트는 건전부에 비해 이산화탄소의 침투가 쉬운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탄산화에 노출된 콜드조인트 콘크리트의 내구성 및 철근부식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탄산화 속도계수 평가를 위해 촉진 탄산화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콜드조인트 콘크리트를 고려하여 탄산화 속도계수를 평가하였다. 또한, 혼화재 치환에 따른 탄산화 저항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OPC(Ordinary Portland Cement)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대표적인 혼화재료인 고로슬래그 미분말 (GGBFS: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을 중량비 40%로 치환하여 배합을 진행하였다. 3가지 수준의 재령(28일, 91일, 365일)을 고려하여 강도특성 및 탄산화 저항성능을 평가하였으며, 평가 결과 재령의 증가에 따라 OPC 콘크리트 및 GGBFS 콘크리트의 강도 및 저항성능은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탄산화 속도계수는 91일을 기점으로 OPC 및 GGBFS 콘크리트 모두 크게 감소하였으며, GGBFS 콘크리트 대비 OPC 콘크리트의 탄산화 저항성능이 높게 평가되었다. 콜드조인트 효과는 OPC 콘크리트에서 큰 차이가 확인되지만 GGBFS 콘크리트에서는 비슷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GGBFS 콘크리트에서 콜드조인트의 탄산화 진행이 상대적으로 느린 이유는 콘크리트의 지속적인 수화반응과 GGBFS 콘크리트의 잠재수경성 반응으로 인한 결과로 평가된다.

목차

제 1 장 서론
1.1 연구목적 1
1.2 연구범위 3
제 2 장 고로슬래그를 사용한 콜드조인트 콘크리트의 탄산화 거동
2.1 콘크리트 탄산화 거동 4
2.1.1 콘크리트 탄산화 메커니즘 4
2.1.2 콘크리트 탄산화 영향인자 8
2.1.3 콘크리트의 탄산화 모델 12
2.2 콘크리트 콜드조인트 16
2.2.1 콜드조인트의 정의 16
2.2.2 콜드조인트의 발생 영향인자 및 분류 18
2.2.3 콜드조인트 발생에 따른 영향 18
2.3 고로슬래그 및 이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특성 19
2.3.1 고로슬래그 미분말 19
2.3.2 국내외 고로슬래그 미분말 품질규격 20
2.3.3 고로슬래그 콘크리트의 특성 22
제 3 장 콘크리트의 강도 및 탄산화 실험
3.1 실험개요 25
3.2 사용재료 및 배합특성 27
3.3 시편 제작 28
3.4 강도 및 촉진 탄산화 속도계수 평가방법 31
3.4.1 강도 평가 방법 31
3.4.2 촉진 탄산화 평가 방법 32
제 4 장 콜드조인트가 고려된 GGBFS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탄산화 거동 평가
4.1 OPC 및 GGBFS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재령에 따른 강도 특성 35
4.2 재령에 따른 배합별 콘크리트의 탄산화 거동 비교 평가 37
4.2.1 OPC 콘크리트의 건전부 및 콜드조인트부 탄산화 거동 37
4.2.2 GGBFS 콘크리트의 건전부 및 콜드조인트부 탄산화 거동 41
4.3 GGBFS 콘크리트와 OPC 콘크리트에 대한 콜드조인트 효과 46
4.4 장기 실태조사 결과와의 탄산화 속도계수 비교 49
제 5 장 결론 52
참고문헌 54
요약문 62
Abstract 63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