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이현진 (한국산업기술대학교,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지도교수
이성남
발행연도
2020
저작권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20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5)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화합물 반도체 중 ZnO와 GaN는 육방정계 wurtzite 결정구조를 지닌Ⅱ-Ⅵ족과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로서 넓은 밴드갭과 화학적 안정성 및 우수한 전기적, 광학적 특성으로 인해 LED (light emitting diode), LD (laser diode), 자외선 (UV, ultraviolet) 센서 및 가스센서 등 많은 소자에서 응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 최근에 분극 ZnO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분극 ZnO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분극 및 무분극 ZnO를 이용한 자외선 센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ALD로 성장시킨 분극 및 무분극 ZnO 자외선 센서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선
ALD (Atomic layer deposition)로 성장시킨 분극 및 무분극 ZnO 자외선 센서를 제작하여 자외선과 가시광에서 광 반응도와 대기 분위기에 따라 광 반응도 비교를 하였다. 그 결과 가시광보다 자외선 영역에서의 광 반응도가 높았으며, 대기 분위기보다 진공 분위기에서의 광 반응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극 ZnO에 비해 무분극 ZnO에 광 반응도가 약 1.6배정도 떨어지지만 대기 분위기에서 무분극 ZnO가 산소에 대한 영향을 덜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PSS (Patterned Sapphire Substrate)와 NSS (Normal Sapphire Substrate)에서 성장시킨 질화갈륨계 p-i-n 구조의 자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결함농도에 따른 광 반응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PSS에서 성장된 질화갈륨계 자외선 센서가 결함농도가 낮음으로써 더 높은 광 반응도의 효율을 얻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InGaN/GaN 활성층 내 In 조성을 달리한 질화물계 p-i-n 구조의 자외선 센서의 광 반응도를 분석하였다. In 조성에 따라 cut-off 파장이 달리지게 되어 각 파장대 별로 최대 반응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무분극 ZnO가 분극 ZnO에 비해 산소에 영향을 덜 받는 것과 또한 ZnO가 산소 가스 센서의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고, 또한 질화갈륨계 자외선 센서의 결함 농도를 줄임으로써 더 높은 효율성을 얻게 되고 In 조성을 달리하여 원하는 파장대를 흡수할 수 있는 자외선 센서를 확인 함으로써 화합물 반도체 자외선 센서에 대한 특성 향상 및 광 반응도 평가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목차

표 목 차
그림목차
국문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ZnO 박막의 물성
2.1.1 ZnO 박막의 구조적 특성
2.1.2 ZnO 박막의 분극 및 반분극 특성
2.2 GaN 박막의 물성
2.2.1 GaN 박막의 구조적 특성
2.3 화합물 반도체 광 센서 구조 및 특성
2.3.1 M-S-M 구조
2.3.2 Schottky diode 구조
2.3.3 p-n 접합 구조
2.4 화합물 반도체 광 센서 구조에 따른 mechanism
2.4.1 ZnO M-S-M 구조의 광 센서 mechanism
2.4.2 ZnO Schottky 구조의 광 센서 mechanism
2.4.3 GaN M-S-M 구조의 광 센서 mechanism
2.4.4 GaN p-n 접합 구조의 광 센서 mechanism
2.4.5 ZnO M-S-M 구조의 수소 가스 센서 mechanism
2.4.4 ZnO Schottky 구조의 수소 가스 센서 mechanism
3. 실험 방법
3.1 원자층증착공정법
3.2 유기금속화학기상증착법
3.3.박막 특성 분석 장비
3.3.1 HR-XRD (High resolution X-Ray Diffraction)
3.3.2 PL (Photoluminescence)
3.3.3 UV visible spectroscopy
3.3.4 AFM (Atomic Force Microscope)
4. 산화물 반도체 광 센서의 대한 연구
4.1 ZnO 분극 특성에 따른 박막 분석
4.1.1 실험방법
4.1.2 결정학적 분석
4.1.3 표면 특성 분석
4.1.4 광학적 특성 분석
4.2 분극 및 무분극 ZnO 자외선 센서에 광에 따른 광 반응도 분석
4.2.1 자외선 및 가시광선에 따른 광 여기전류 분석
4.2.2 시간에 따른 광 반응도 분석
4.3 분극 및 무분극 ZnO 자외선 센서에 대기 분위기에 따른 광
여기 전류 분석
4.3.1 진공 및 대기 분위기에 따른 광 여기전류 분석
4.3.2 산소 원자 수 변화의 상대적인 암전류 및 광전류 분석
4.3.3 시간에 따른 대기분위기에서의 광 반응도 분석
4.4 분극 및 무분극 ZnO 수소 가스 센서의 수소 반응 연구
4.4.1 실험 방법
4.4.2 표면 특성 분석
4.4.3 광학적 특성
4.4.4 I-V 특성 및 감도 분석
4.5 결론
5. 질화물 반도체 광 센서의 대한 연구
5.1 패턴된 사파이어 기판 위에 제작된 질화물계 자외선 센서
5.1.1 실험 방법
5.1.2 결정학적 분석
5.1.3 광학적 특성 분석
5.1.4 광 여기전류 특성
5.1.5 파장에 따른 광 여기 전류 분석
5.1.6 시간에 따른 광 반응 분석
5.2 InGaN 활성층내 In 조성에 따른 자외선 센서의 광 감도에 대한 연구
5.2.1 실험 방법
5.2.2 결정학적 분석
5.2.3 광학적 특성 분석
5.2.4 광 여기전류 특성
5.2.5 파장에 따른 광 여기 전류 분석
5.2.6 시간에 따른 광 반응 분석
5.3 결론
6. 결론
7. 참고문헌
8. Abstract
9. 연구성과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