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설창욱 (인천대학교,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지도교수
김상문
발행연도
2020
저작권
인천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3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기능성 탄소층 삽입을 통한 저가습용 연료전지 성능 향상 연구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는 유해 물질을 방출하지 않는 무공해 에너지 디바이스로 수십 년 동안 청정 에너지 장치로 주목 받아 오고 있다. 최근 연료 전지 시스템의 응용 분야는 발전용, 수송용뿐만 아니라 휴대용 장치 및 무인 항공기 시스템으로 확장되었으며, 이는 저가습 조건을 포함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작동하는 고성능 연료 전지 시스템의 개발을 요구한다. 이러한 낮은 상대 습도 조건에서, 연료 전지 시스템의 막 전극 접합체의 수화는 나피온 막의 이온 전도성 감소로 인한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환원극 측의 촉매층 상에 기능성 다공성 탄소층 삽입을 통하여 낮은 상대 습도 조건에서 막 전극 접합체의 수화를 돕고 연료전지 성능을 성공적으로 개선시켰다. 기능성 다공성 탄소층은 전기 화학 임피던스 분광법 및 Cyclic voltammograms 에 의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촉매의 전기 화학적 반응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막 전극 접합체에서 생성 된 물을 유지 및 물질 전달을 유지하는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기능성 다공성 탄소층에 쓰이는 적절한 이오노머 종류 및 최적화된 양과 기능성 다공성 탄소층의 두께를 조사하여 낮은 상대 습도 조건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에서 적합한 막 전극 접합체를 개발하고 성능 개선을 성공적으로 이루었다.

핵심어: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 낮은 상대 습도, 기능성 다공성 탄소층, 나피온 막의 수화

목차

Chapter 1. Introduction
1.1 Research Background 1
1.2 Related Research Trends 2
1.3 Research Purpose 3
Chapter 2. Experimental Section
2.1 Preparation of the catalyst-coated membrane (CCM) 11
2.2 Preparation of the MEA with hydrophilic carbon-covering layer 11
2.3. Preparation of the MEA with hydrophilic carbon-covering layer 12
2.4. Electrochemical measurements 12
2.5. Physical analysis 13
Chapter 3. Results and Discussion
3.1 Comparison of Characterization hydrophobic and hydrophilic CCL 17
3.1.1 Wettability 17
3.1.2 Performance 17
3.2 Optimized performance and Analysis of Carbon-covered MEA 18
3.2.1 Formation of CCLs with different thickness on the catalyst layer 19
3.2.2 Improved performance of MEAs with CCLs in low RH condition 19
3.2.3 Electrochemical analysis of MEAs with CCLs 21
Chapter 4. Conclusion 40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