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221
2021
Ⅰ. 서론 = 1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 31.3 연구의 구성 및 내용 = 4Ⅱ. 이론적 배경 = 62.1 의사결정과 조언 = 62.1.1 Judge Advisor System = 82.1.2 조언수용과 조언무시 = 102.2 조언수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 = 122.2.1 의사결정자와 조언자의 관계 = 122.2.2 조언자 유형 = 132.2.3 의사결정 업무의 유형 = 232.2.4 의사결정자의 특성 = 272.2.4.1 성격특성 = 282.2.5 사용경험 중심의 사전지식과 AI Effect = 37Ⅲ. 연구 1 - 연구 모형 및 연구 가설 설정 = 403.1 연구 모형 = 403.2 연구 가설 설정 = 413.2.1 의사결정업무의 특성 = 413.2.2 조언자 유형과 조언참조결과 = 413.2.3 의사결정자 성격특성과 조언자유형의 상호작용 = 44Ⅳ. 연구1 ? 연구 방법 = 464.1 실험 설계 = 464.2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항목 = 514.2.1 의사결정자의 확신도 향상 = 514.2.2 조언수용 = 514.2.3 인지된 유용성 = 534.2.4 성격특성 = 544.3 조사대상 = 564.4 분석절차 = 56Ⅴ. 연구1 - 분석결과 = 585.1 표본의 특성 = 585.2 인공지능 제품/서비스 사용정도 = 595.3 측정도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분석 = 645.3.1 타당성 검정 = 645.3.2 신뢰성 검정 = 655.4 가설 검정 = 665.4.1 조언자 유형별 조언참조결과 = 665.4.2 의사결정자의 성격특성과 조언자유형의 상호작용과 조언평가 = 715.5 연구 1 - 결과 요약 = 77Ⅵ. 연구2 - 분석결과 = 796.1 연구 배경 = 796.2 연구 모형 및 연구 가설 설정 = 816.3 실험 설계 = 836.4 조사 대상 = 886.5 분석 절차 = 896.6 분석 결과 = 896.6.1 표본 특성 = 896.6.2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정 = 906.6.3 측정도구의 신뢰성 검정 = 916.6.4 가설 검정 = 926.7 연구 2 - 결과 요약 = 96Ⅶ. 결론 = 987.1 연구의 요약 = 987.2 연구 의의 및 시사점 = 1007.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 102참고문헌 = 104부록 = 123ABSTRACT = 13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