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최연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김대근
발행연도
2021
저작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10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유기성폐기물의 생물분해 과정에서 배출되는 VOCs 물질 중 하나인 d-limonene은 최소감지농도가 낮으며, 하수처리장, 퇴비화 시설, 바이오가스 생산공정 등 다양한 배출원에서 발생한다. 바이오필터는 처리대상 오염물질을 미생물이 고정된 담체에 통과시켜 제거하는 생물학적 처리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체상 d-limonene을 처리하기 위한 총 2기의 실험실 규모 바이오필터를 운전하였다. 바이오필터는 각각 산성과 중성 조건으로 운전하였으며 제거특성과 운전 성능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탄소물질수지 작성을 통한 바이오필터 내부의 생물반응을 양론적으로 해석하였으며, 미생물 군집 분석을 통해 두 바이오필터간의 미생물 분포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바이오필터는 유효부피 4.71 L의 원통형 반응기이며, 폴리우레탄 폼 담체를 충전하였다. 미생물은 지역 하수처리장 2차 침전조의 반송슬러지를 이용해 기질에 순응시켜 접종하였다. 미생물 군집은 반응기의 담체로부터 미생물 DNA를 채취해 Illumina MiSeq Sequencing system을 통해 분석하였다. 산성반응기는 pH 3.5, 중성반응기 pH 6.5의 조건으로 운전하였다. 임계부하량은 중성 반응기 19.437 g/m3·hr, 산성 반응기 9.981 g/m3·hr이었다. Michaelis-Menten 모델을 이용한 이론적 최대제거용량은 중성 반응기 31.979 g/m3·hr, 산성 반응기 51.345 g/m3·hr로 확인되었다. 바이오필터는 유입부하량 3.050 ~ 23.843 g/m3?hr에서 평균적으로 90% 이상의 제거성능을 나타냈으며 기질부하량이 35.724 g/m3?hr까지 높았을 때 약 80%의 제거성능을 보였다. Biomass yield(g biomass/g substrate)는 0.20~0.84 g/g이며, 임계부하량에서 0.68 g/g으로 추정되었다.
바이오필터의 α-Diversity 분석을 통해 중성 바이오필터는 박테리아, 산성 바이오필터는곰팡이의 다양성이 더 우세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중성 바이오필터는 Flavobacteriales 목의 Cryomorphaceae 속 박테리아가 16%로 가장 우세하였으며 산성 바이오필터에는 Hypocreales 목의 Nectriaceae 속 곰팡이가 36%로 가장 우세하였다.

목차

I. 서 론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2
II. 이론적 고찰 3
1. 바이오필터 3
1) 바이오필터의 원리 3
2) 바이오필터의 성능 표현 6
3) 바이오필터의 종류 7
2. d-limonene 10
1) 특징 10
2) 발생원 12
III. 실험 장치 및 실험 방법 14
1. 바이오필터 구성 14
1) 반응기 구성 14
2) 영양액 조성 15
3) 미생물 접종 16
4) 운전조건 16
2. 분석방법 18
1) 바이오필터 분석방법 18
2) 미생물 반응속도 분석 18
3) 물질수지 분석 및 생물양론식 작성 20
4) 미생물 분석 22
IV. 실험 결과 및 고찰 24
1. 바이오필터 성능평가 24
1) 장기 운전에 따른 성능평가 24
2) 유입부하량에 따른 제거성능 비교 25
2. 바이오필터 반응속도 평가 28
1) 동역학적 모델에 따른 성능 비교 28
3. 바이오필터 탄소 물질수지 작성 및 생물양론적 해석 31
1) 탄소 물질수지 작성 31
2) 바이오필터의 생물양론적 해석 32
4. 바이오필터 내 미생물 분석 38
1) 담체 표면 분석 38
2) 미생물 군집 분석 38
V. 결 론 45
참고문헌 47
영문초록(Abstract) 58
표 목 차
Table 2.1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d-limonene 11
Table 2.2 Emission amount of d-limonene in wastewater treatment plants (/fungi ratio of biofilter by inlet loading rate(a. Neutral biofilter, b. Acid biofilter) 36
Fig. 4.6 Fraction of electron used for cell synthesis(fs) and energy generation(fe) by loading rate(a. Neutral biofilter, b. Acid biofilter) 37
Fig. 4.7 SEM images of biofilter media. (a)~(c): Neutral biofilter, (d)~(f): Acid biofilter. 40
Fig. 4.8 Comparsion of different microbial communities of bacteria and fungi between neutral and acid biofilter (bac: bacterial community, fun: fungal community) 42
Fig. 4.9 Heatmap of bacterial community in neutral and acid biofilters, left column: neutral biofilter, right column: acid biofilter 43
Fig. 4.10 Heatmap of fungal community in neutral and acid biofilters, left column: neutral biofilter, right column: acid biofilter 44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