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10
I. 서 론 11. 연구 배경 12. 연구 목적 2II. 이론적 고찰 31. 바이오필터 31) 바이오필터의 원리 32) 바이오필터의 성능 표현 63) 바이오필터의 종류 72. d-limonene 101) 특징 102) 발생원 12III. 실험 장치 및 실험 방법 141. 바이오필터 구성 141) 반응기 구성 142) 영양액 조성 153) 미생물 접종 164) 운전조건 162. 분석방법 181) 바이오필터 분석방법 182) 미생물 반응속도 분석 183) 물질수지 분석 및 생물양론식 작성 204) 미생물 분석 22IV. 실험 결과 및 고찰 241. 바이오필터 성능평가 241) 장기 운전에 따른 성능평가 242) 유입부하량에 따른 제거성능 비교 252. 바이오필터 반응속도 평가 281) 동역학적 모델에 따른 성능 비교 283. 바이오필터 탄소 물질수지 작성 및 생물양론적 해석 311) 탄소 물질수지 작성 312) 바이오필터의 생물양론적 해석 324. 바이오필터 내 미생물 분석 381) 담체 표면 분석 382) 미생물 군집 분석 38V. 결 론 45참고문헌 47영문초록(Abstract) 58표 목 차Table 2.1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d-limonene 11Table 2.2 Emission amount of d-limonene in wastewater treatment plants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