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Library .. Notice
Institutional Access
If you certify, you can access the articles for free.
Check out your institutions.
ex)Hankuk University, Nuri Motors
Log in Register Help KOR
Subject

Recommendations
Search

논문 기본 정보

Type
Thesis
Author

이정윤 (부산대학교, 부산대학교 대학원)

Adviser
이동언
Issue Year
2021
Copyright
부산대학교 thesis is protected by copyright.

Usage19

cover
Ask AI
Recommendations
Search

Research history (2)

  • Are you curious about the follow-up research of this article?
  • You can check more advanced research results through related academic papers or academic presentations.
  • Check the research history of this article

Abstract· Keywords

Report Errors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관점을 건축의 예술 작품화에 대한 관점으로 풀어 이를 RCR Arquitectes의 건축 사유와 작품에 대한 분석의 틀로 작동해본다. 이 과정을 통해 하이데거의 전후기 사상을 관통하는 예술작품에 대한 그의 사유를 정리하고 분석하여 건축의 작품화에 대한 하나의 이론으로 정립할 수 있음을 시도한다. 먼저, 그의 전후기 사상에서 드러난 예술작품의 사유를 짚어보고 이를 그의 존재론적 사유와 사방 세계의 사유로 나누어 어떤 식으로 발전되어가는지를 살펴본다. 그리고 여기에서 도출된 그의 사유를 통해 RCR Arquitectes의 사유와 작품을 들여다봄으로써 이것이 건축적 이론으로 어떻게 쓰일 수 있는가를 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기대하는 바는 하이데거 사유를 통한 진정한 주위에 대한 이해를 건축하는 데에 있어 끌어옴과 동시에 맥락에 대한 고민의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RCR이 담아내는 주변 지역의 총체성의 질에 대한 맥락을 가지고 풀어나가며 하이데거의 사유와 그들의 사유가 맞닿는 부분을 살펴본다. 그 접점은 균형이다. 하이데거는 사방의 포개어짐으로 균형을 말하고 그들은 대지와 건축, 사람의 균형을 이야기한다. 이는 모두 관계의 관계라는 총체성으로 이어지며, 결국 건축은 전체의 부분이다. 이는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순환과 통한다. 그들은 시적 사유와 거기-있음을 통해 주변을 읽어내고 솟아오름 속에서 지각한 작품의 말 건넴이라는 찰나를 스케치를 통해 잡아둔다. 그리고 그들이 가지는 고유의 기원을 그 위에 포개어 총체성을 획득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그들의 건축에서 하이데거적인 사유를 발견할 수 있다. 이 방식은 세 가지의 분류로 좀 더 명확하게 드러날 수 있다. 이렇게 그들의 건축을 하이데거의 사유에서 도출해 낼 수 있는 세 가지의 관점으로 더욱 분석적으로 파고들어 그들이 담아내는 멸자로서의 주제적 터에 대해 고찰을 해본다. 이 논문이 건축형태가 과거의 것을 전승하는 문제, 그리고 지역을 담아내는 문제에 대한 하이데거의 사유를 빌린 하나의 탐구로 그 가치를 지니길 바란다.

Contents

I. 서론 1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가. 연구의 배경 1
나. 연구의 방법 3
II. 하이데거와 RCR Arquitectes의 존재실존적 사유 6
1. 하이데거 사유의 바탕 6
2. RCR 11
가. 스페인의 건축가 집단 RCR Arquitectes 11
나. RCR의 뿌리 12
다. 다자간의 건축 17
3. RCR Arquitectes와 하이데거의 균형의 사유 20
III. 존재실존적 사유의 건축적 차용 appropriation 23
1. 하이데거의 존재실존적 사유 23
가. 존재의 세 가지 측면 : 있음, 임, 솟아오름 23
나. 대지와 세계, 작품으로써의 건축 25
다. ''솟아오름''의 건축 26
2. 사방의 건축적 해석 29
가. 하늘, 대지, 멸자, 불멸자 29
나. 다리 : 사방의 포개어짐 31
IV. RCR Arquitectes의 균형의 건축 36
1. RCR의 ''있음''과 ''임'', ''솟아오름'' 36
가. RCR의 ''기원'' 36
나. RCR의 균열-디자인 38
2. RCR의 건축적 사유 41
가. 삶의 ''매개적'' 사유 41
나. RCR의 자연관 43
다. RCR의 스케치와 ''솟아오름'' 45
라. 균형의 건축과 ''거주하기'', ''짓기'' 50
V. 사방의 포개어짐과 RCR의 작품 55
1. 재현적 사방 60
가. 라스 꼴스 파빌리온 Pavilions in Les Cols Restaurant (2004-2005) 60
나. 육상경기장 Athletic Stadium (1999-2001) 65
다. 연못가 파빌리온 Pavilions on a Pond (2004-2017) 71
2. 상징적 사방 76
가. 목수의 집 House for a Capender (2005-2007) 76
나. 바람을 막아주는 집 Windbreak House (2005-) 80
다. 색을 가진 유치원 ''Els Colors'' Nursery (2003-2004) 83
라. 지평선의 집 Horizon House(2004-2007) 88
3. 균형적 사방 94
가. 2x1 파빌리온 2x1 Pavilion (1999-2001) 94
나. 암석 공원 Piedra Tosca Park (2003-2005) 96
다. 라스 꼴스 레스토랑 Les Cols Restaurant (2003-2003) 102
라. 라스 꼴스 레스토랑의 마르키 Marquee, Les Cols Restaurant (2007-2001) 105
VI. 결 론 110
참 고 문 헌 117
Abstract 119

Recently viewed articles

View more

Comments(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