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3
제 1장. 서론 1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1.2 연구의 목표 및 방법 4제 2장. 문헌 연구 62.1 동북아 지역의 원소탄소 배출량 72.2 동북아 지역의 원소탄소 농도 92.3 원소탄소의 인체 및 기후 영향 12제 3장. 연구 방법 153.1 관측자료 163.1.1 남한 측정자료 163.1.2 중국 관측자료 173.2 대기질 모사 183.2.1 기상 모사 203.2.2 배출량 모사 233.2.3 3차원 광화학 대기질 모사 253.3 배출원별 기여도 분석 323.3.1 PCA를 이용한 기여도 분석 323.3.2 ISAM을 이용한 기여도 분석 343.4 배출원별 인구노출도 평가 363.5 배출량 보정 373.5.1 남한 관측자료 기반 국내외 원소탄소 배출량 보정 373.5.2 본 연구의 원소탄소 배출량 보정 방법론 41제 4장. 연구 결과 474.1. 남한 권역별 원소탄소 배출량 및 농도 474.1.1 남한 원소탄소 배출량 474.1.2 남한 원소탄소 농도 및 모사 불확도 514.1.3 국내외 기여도 554.1.4 남한 배출원별 기여도 594.1.5 배출량 불확도에 따른 배출원별 원소탄소 기여농도 및 인구 노출도 624.2. 동북아 지역별 원소탄소 배출량 보정 644.2.1 보정에 따른 원소탄소 모사 농도 변화 644.2.2 보정에 따른 원소탄소 배출량 변화 784.2.3 보정에 따른 원소탄소 기여도 변화 80제 5장. 결론 85제 6장. 참고문헌 8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