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11
2022
2018
2016
Chapter Ⅰ. 대기 수준(nmol mol-1) 유해대기오염물질 표준가스 개발 11. 서론 12. 재료 및 실험방법 4가) 재료 4나) 실험방법 12(1) 시약의 순도 분석 방법 12(2) HAPs 18종 혼합표준가스 제조 방법 14(3) HAPs 18종 혼합표준가스 분석 방법 16(4) 안정도 평가 방법 19(5) 불확도 평가 방법 223. 결과 및 고찰 24가) 시약 순도 분석 결과 및 컬럼 별 성분 분석 결과 24나) 고농도 HAPs 표준가스 분석 결과(10 μmol mol-1 이상) 30다) 중농도 HAPs 표준가스 분석 결과(100 nmol mol-1) 41라) 저농도 HAPs 표준가스 분석 결과(5 nmol mol-1) 46마) 안정도 평가 결과 50(1) HAPs 5 nmol mol-1 단기 안정도 평가 결과 50(2) HAPs 5 nmol mol-1 장기 안정도 평가 결과 55바) HAPs 5 nmol mol-1 불확도 평가 결과 594. 결론 64* 참고문헌 66Chapter Ⅱ. 실린더별 DMS 5 nmol mol-1수준의 장기 안정도 평가 701. 서론 702. 재료 및 실험방법 73가) 재료 73(1) 실린더 73(2) 원료 시약과 분석 장비 및 기타 재료 76나) 표준가스의 제조 방법 78다) 장기안정도 평가를 위한 저농도 DMS 표준가스 분석 방법 80라) DMS 장기안정도 평가방법 833. 결과 및 고찰 84가) 실린더 [EX], [PF], [AC]의 2 nmol mol-1 DMS 장기안정도 결과 87나) 실린더 [EX], [PF], [AC]의 7 nmol mol-1 DMS 장기안정도 결과 91다) 실린더 [AL], [AL-PS], [AL-PL]의 7 nmol mol-1 DMS 장기안정도 결과 954. 결론 99* 참고문헌 101ABSTRACT 1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