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박민준 (부산대학교, 부산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김철희
발행연도
2023
저작권
부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11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에서는 부산과 서울 지역의 COVID-19 발생에 따른 PM2.5 질량과 PM2.5 화학 성분 농도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최근 3년간의 기간을 pre-COVID (2018~2019), COVID (2020)으로 나누어 PM2.5 질량과 PM2.5 화학 성분 농도의 연, 월 평균 농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COVID 기간 부산 지역에서 PM2,5 질량 농도는 pre-COVID 기간에 비해 약 29%, 서울 지역에서 16% 감소했고, 위성 관측자료에서도 COVID 기간 한반도 지역에 월 평균 AOD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COVID 기간 PM2.5 화학 성분의 농도도 PM2.5 질량 농도 감소에 따라 감소했지만, 각 성분의 비율에는 특이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Lock-Down (2020년 3월) 기간 서울 지역에서 sulfate의 비중이 감소하고 OC의 비중이 증가하였고, 부산 지역에서는 nitrate의 비중이 크게 감소하고 OC의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출량이 줄어듦에 따른 농도 감소뿐만 아니라 부산 지역에서는 COVID 기간 기상요소의 영향에 의한 농도 감소도 본 연구에서 논의하였다. COVID 기간 부산 지역에서 동풍 계열 바람의 유입이 우세하게 나타났고 따른 PM2.5 질량 농도 감소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러므로 COVID 기간 PM2.5 질량 및 화학 성분 농도 변화 분석은 각 지역의 배출과 기상 특성을 함께 고려한 심도 있는 분석이 필요하다.

목차

List of Tables ⅱ
List of Fiugre ⅲ
국문 초록 ⅴ
제 1 장 서론 1
제 2 장 자료 및 연구 방법 3
2.1 대상 지역 및 이용 자료 3
2.2 연구 방법 6
제 3 장 연구 결과 8
3.1 COVID기간 연평균, 월평균 농도 변화 8
3.2 Lock-down 기간 농도 변화 분석 19
3.3 Lock-down 기간 기상 영향 분석 30
제 4 장 요약 및 결론 42
참고 문헌 44
Abstract 47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