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1%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감사의 글
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배추김치즙의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enteritidis, Vibrio parahaemolyticus 및 Enterobacter cloacae에 대한 항균작용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3 .12
마늘즙 첨가 요구르트의 품질특성 및 항생제 저항성 황색포도상구균 KCCM 40510 억제활성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009 .01
가별온도가 마늘즙의 항균활성에 미치는 영향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2008 .08
마늘즙의 미생물증식 억제효과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1998 .01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산초 추출물의 항균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4 .03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은 이온의 항균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2 .12
수산물에서 V. parahaemolyticus의 검출 방법 및 저감 방안
Safe Food
2007 .01
마늘, 생강, 양파 즙의 항산화능과 항균작용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2013 .02
복합균주에 대한 부추와 마늘 생즙 및 가루성분의 항균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2011 .08
생마늘즙과 열처리 마늘즙의 항균활성 비교
한국식품과학회지
2003 .06
굴에서 병원성 · 비병원성 Vibrio parahaemolyticus 예측 모델 개발 및 행동 비교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19 .12
시판 과일주스의 이화학적 특성 및 기능성 비교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2012 .10
Occurrence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 Fishery Products from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2006 .08
수학적 정량평가모델을 이용한 Vibrio parahaemolyticus의 성장 예측모델의 개발
한국식품과학회지
2004 .04
Organic acid and sugar contents in different domestic fruit juice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2016 .12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Blending and Juicing on the Phytochemicals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Typical Korean Kernel Fruit Juices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2014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