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를 통한 다양한 지역의 가치 창출이 강조됨에 따라 지자체에서는 지역 자원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특히 지역축제 개발에 힘쓰고 있다. 그러나 수많은 지역 축제들이 지역의 독특한 정체성을 표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구성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아 특성화된 축제로의 발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초정약수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충북 청원군의 ‘세종대왕과 초정약수축제’에서 활용되는 주제공연 사례를 제시하여 지역 축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주제를 강화하는 중심 프로그램으로서 주제공연의 기능과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본 사례연구를 기반으로 주제공연 개발이 향후 지역축제의 콘텐츠 발굴과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 효과적방안으로 적용되길 기대한다.
As the production of various local values through the cultural activities become stressed, the local governments have been making effort to develop cultural contents, especially local festivals, through utilization of the local resources. However, numerous local festival organizers face the difficulties, which arise from the lack of proper program that could express their local characters, in developing specialized festivals. This study presents the case of the thematic performance from the King Sejong and Chojung Mineral Spring Festival held in Chungwon-gun, Chungbuk Province, in order to emphasize the necessity and practicality of thematic performance as the pivotal program that would establish the identity of local festivals and bolster their contents. We expect that this case study would initiate development of thematic performance as the effective solution to exploring new contents and programs organizing in local festiv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