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Abstract
1. 서론
2. 자료 및 분석 방정식
3. 평균 자오면 순환 분석
4. 에디와 비단열항 분석
5. 요약 및 토의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북반구 겨울철 에디들에 의한 운동량, 열 그리고 수분 수송 : 세 가지 재분석 자료 비교
대기
2016 .12
위성 자료가 재분석자료의 대규모 대기 순환장에 미치는 영향 : JRA-55와 JRA-55C 비교 연구
대기
2016 .12
알러지성 접촉피부염 유발제인 수은으로 손상된 배양 NIH3T3 섬유모세포에 대한 청미래덩굴 추출물의 효과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2015 .01
Extreme heat wave characteristics over South Korea based on ERA-Interim reanalysis data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7 .10
초기 입력 자료에 따른 WRF 기상장 모의 결과 차이 - ERA-Interim과 FNL자료의 비교
한국환경과학회지
2017 .12
CMIP5 과거 자료와 JRA-55 재분석 자료를 이용한 북반구 겨울철 동서 평균 에디 운동량 수송의 발산과 해들리 순환 극향 경계의 관계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8 .10
Observed Long-Term Trends of the Atmospheric Circulation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1 .04
겉보기 열원 및 습기 흡원의 세 재분석 자료 비교와 몬순 지역별 분석
대기
2018 .12
Influences of Large-scale Atmospheric Circulation on the Interannual Variability of Arctic Sea Ice in Boreal Summer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5 .04
Arctic cloud properties and associated radiative effects in the three newer reanalysis datasets (ERA5, MERRA-2, JRA-55)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2 .10
세 가지 재분석 자료에서의 겨울철 북반구 평균 자오면 순환-에디 상호작용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5 .04
재분석자료들을 이용한 최근 35년(1979~2013) 동북아시아 상층제트의 변동특성
대기
2015 .06
Statistical Prediction of Interannual Variability of Winter Temperature over the Korean Peninsula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6 .10
Influence of Climate Variability on Extreme Ocean Surface Wave Heights Assessed from ERA-Interim and ERA-20C Reanalyses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6 .04
Mid-latitude interactions expand the Hadley circulation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3 .11
Eight environmental variability modes guiding the region for active tropical convections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3 .04
우리나라 시군단위 벼 수확량 예측을 위한 다종 기상자료의 비교평가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021 .01
Impacts of the Atmospheric Interannual Variability on the West Antarctic Cryosphere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9 .10
HadCRU4 관측 온도자료와 20CR 재분석 자료 비교로부터 확인된 1900년대 초반 극지역 평균 온도 추정의 불확실성
한국기후변화학회지
2015 .06
EMF (electromagnetic field strength)가 스퍼터된 ITO 박막의 초기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공학회 학술발표회초록집
2015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