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들어가며
2. 한글 타자기 시장의 성장
3. 불발로 끝난 1950년대의 표준화 시도
4. 정부 주도의 표준 자판 제정
5. 표준 자판을 둘러싼 논란, 그리고 비정치적인 것의 정치화
6.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안과의사, 시각장애인에게 타자를 가르치다 ―‘맹인부흥원’과 공병우의 시각장애인 자활운동
역사비평
2020 .02
한글, 타자기, 공병우-김태호(2023), 『한글과 타자기: 한글 기계화의 기술, 미학, 역사』, 역사비평사, 320쪽
인문논총
2024 .02
Book Review: Tae-Ho Kim 김태호, Hangul and Typewriters: Technology, Aesthetics, and the History of the Mechanization of Korean Language 한글과 타자기: 한글 기계화의 기술, 미학, 역사 (Seoul: Yeoksabipyeongsa, 2023), 320 pp.
한국과학사학회지
2024 .08
한글 기계 생태계의 압력, 변이, 그리고 진화 : 1960-80년대의 다양한 한글 기계들의 성쇠
동악어문학
2016 .11
헨리 제임스의 『새장 안에서』: 매체의 물질성과 초월의식의 한계
미국소설
2020 .01
Exclusive Pakkey and Multidimensionality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2 .11
재일동포사회를 통해서 본 한국다문화사회의 비판적 고찰
일본문화학보
2016 .02
The magnitude of articulatory gestures for the glide /w/ in Korean: Implications for the phonological representation of /w/
음성음운형태론연구
2020 .12
1910년대 미국의 한국에 대한 인식과 3.1운동에 대한 반응
역사와실학
2021 .04
Exhaustivity of –(n)un in Korean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17 .06
통일 시기 남북 전문용어 표준화 정책에 대한 소고
사회언어학
2017 .01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개발과 한글학교 적용 연구
국어국문학
2017 .09
타자기라는 여자: 소설 『드라큘라』에 나타난 여성 저자성과 타자기
비교문학
2018 .10
"표준 국어 문법" 용어의 현황과 문제점
언어와 정보사회
2018 .01
「한국어 공교육 교육과정」 변화와 개선 방향
한국언어문학
2018 .01
2019년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개선 방향 고찰
한글
2020 .12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전망 - 재미 동포의 인식 조사를 바탕으로 -
언어와 문화
2015 .01
‘표준어 규정’에 대한 판결문을 통해 본 표준어 인식의 배경과 한계 : 2009년 판결문(2006헌마618)을 대상으로
코기토
2021 .06
근대화 과정에서 발생한 문체와 언어의 표준화 문제
어문론총
2021 .12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을 활용한 해외 대학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이중언어학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