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윤지선 (가톨릭대)
저널정보
대한철학회 철학연구 철학연구 제150집
발행연도
2019.5
수록면
59 - 101 (43page)
DOI
10.20293/jokps.2019.150.59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논문은 대한민국을 뒤흔들고 있는 탈코르셋 운동이 지닌 맥락과 그 의의를 다각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새로운 시대정신으로서의 페미니즘의 물결이 우리 사회에 공명해내는 진폭과 파장들을 이론적으로 적확하고 구체적으로 조명해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우선 들뢰즈와 가따리의 Mille Plateaux(천개의 고원)의 개념을 중심으로, 탈코르셋 운동으로부터 촉발된 다각적 논쟁들과 공격, 오해들을 기존의 정상적 규범성과 욕망담론들의 지형을 기반으로 구성된 ‘지층화 작용(stratification)’의 일환으로 분석하는 반면, 새로운 역량(puissance)을 재배치하고 발명해내는 탈코르셋 운동을 아직 도래하지 않은 미래의 흐름(flux)을 길어 올리고 기존의 궤도로부터 탈주를 꾀하는 ‘탈지층화 작용(destratification)’으로 분석하고 논증하겠다. 또한 남성 욕망경제 매트릭스 내에서 여성의 신체가 어떠한 가치로 교환·취급되며 마르크스의 『자본론』을 기반으로 꾸밈노동과 신체자원, 보슬아치의 용어들을 정밀하고 비판적으로 분석하겠다. 탈코르셋 운동을 통해 우리는 여성들이 자신들의 몸과 그를 둘러싼 다각적 요소들(미에 대한 욕망, 성역할, 성적 매력, 화장 등) 간에 1차적으로 어떠한 ‘감응력(affection)’들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는 구체적으로 어떠한 ‘정동(Affect)’과 ‘역량(puissance)’들의 다발체를 이끌어내며 실천하게 하는지를 스피노자의 Ethica(에티카)와 들뢰즈의 cours de vincennes sur spinoza(스피노자에 관한 뱅센느 강의록)을 주요 프리즘으로 삼아 심도깊게 고찰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여성의 외모꾸미기가 여성의 자유로운 선택이나 사적 취향이 아닌 이유를 부르디외의 ‘아비투스(habitus)’ 개념을 기반으로 논증하고 탈코르셋 운동과 여성의 아비투스와의 역학관계에 대해 밝히고자 한다.

목차

[논문개요]
1. 들어가며
2. 페미니즘 지질 경제역학(geologico-economica dynamic)
3. 페미니즘 정동 역학(affectio-dynamic)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010-0007990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