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논문개요]
1. 들어가며
2. 페미니즘 지질 경제역학(geologico-economica dynamic)
3. 페미니즘 정동 역학(affectio-dynamic)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청소년소설 수상작] 코르셋
창비어린이
2020 .12
코르셋을 입은 '집안의 천사': 빅토리아 시기 '코르셋 논쟁'과 여성담론
대구사학
2020 .01
19세기 초반 코르셋 착용에 따른 인체 치수와 실루엣 변화 사례연구
복식문화연구
2021 .08
7차 교육과정 이후 고등학교 <한국 근・현대사>・<한국사> 교과서의 1920년대 여성운동에 대한 서술 추이 연구
史叢(사총)
2024 .09
들뢰즈에서 정동의 논리와 공명의 잠재력
시대와 철학
2015 .12
3·1운동과 그 이후, 여성의 현실 참여
인문과학연구
2019 .01
운동은 몸에 좋아요
문학들
2015 .02
3·1운동은 우리에게 무엇이었나
현대사와 박물관
2019 .12
백운동을 거닐다 외 2편
황해문화
2016 .12
운동
월간에세이
2020 .07
어느 올드페미의 편지를 읽으며, 페미니즘 연대를 상상한다. (정현백, 『연대하는 페미니즘: 호주제 폐지부터 탈코르셋까지 함께 쓰는 우리의 이야기』, 동녘, 2021)
여성과역사
2021 .06
‘노동’ 연극과 노동 ‘연극’ 사이 : 「동일방직 문제를 해결하라!」(1978)와 「생활연극」(1981)에 나타난 아비투스의 의미
한국현대문학연구
2018 .08
들뢰즈와 과타리의 생성 이론 -베르그손과 레비스트로스와의 영향 관계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2021 .08
세기전환기 반자본주의 운동과 신 사회운동의 딜레마 -탈 물질주의적 가치관과 문화주의 이론의 한계-
서양사론
2017 .09
1990년대~2000년대 초반 연세대 대학여성운동의 형성과 특징 -여성주의 대학여성운동의 전개와 실천 중심으로-
학림
2021 .09
비교 역사적 연구를 통해 본 정동 연구의 사회정치적 의제: ‘여자 떼’ 공포와 다스려질 수 없는 자들의 힘
여성문학연구
2016 .01
论“文学场”视域下的“五四”一代女作家及其小说创作
중국어문논역총간
2021 .07
스피노자와 여성: 여성 배제를 중심으로
철학연구
2020 .06
대중잡지 『별건곤』의 여성운동과 여성운동자 재현 방식
우리말글
2016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