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결과
4. 요약 및 결론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2020년 2월 8일 영동지역 강설 사례 시 관측과 수치모의 된 바람 분석
대기
2021 .11
겨울철 ESSAY (Experiment on Snow Storms At Yeongdong) 기간 동안 수증기량과 강수량의 연관성 분석
대기
2016 .03
관측과 모델 자료를 활용한 겨울철 영동지역 한기 축적(Yeongdong Cold Air Damming; YCAD)의 공간 규모 분석
대기
2020 .06
관측사례로 검증한 영동강풍 발생조건 분석
대기
2021 .11
Changed Relationship between Snowfall over the Yeongdong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Large-scale Factors
한국지구과학회지
2017 .01
2014년 대설관측실험(Experiment on Snow Storms At Yeongdong: ESSAY)기간 강설 및 눈결정 특성분석
대기
2015 .06
영동 지역에서 강설 특성 관측 및 이해
대기
2021 .11
2017년 1월 20일 발생한 강원 영동대설 사례에 대한 대기의 구조적 특성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2019 .09
2020 강원영동 강풍 관측에서 지상 바람의 공간 변동성 분석
대기
2021 .11
ESSAY(Experiment on Snow Storms At Yeongdong) 캠페인 동안 강설 및 눈결정의 시간변화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5 .10
영동지역 기상조건이 구름 및 강설 모의에 미치는 영향: 이상 실험 기반의 사례 연구
대기
2021 .11
Regulation of Cinnamyl Alcohol Dehydrogenase (CAD) Gene Family in Lignin Biosynthesis
생명과학회지
2021 .10
강원도에서 적설에 의한 일반국도 교통 특성 분석
대기
2021 .06
Advancing the rain and snow determination method during CAD events on the East Coast of South Korea by using Froude number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4 .10
A Study on the Analysis and Comparison of DC Suite and CLO3D
패션 비즈니스
2017 .01
영동지역 cold air damming (CAD)이 강설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9 .10
CALM1 rs3179089 polymorphism might contribute to coronary artery disease susceptibility in Chinese male: a case–control study
Genes & Genomics
2022 .04
강원영동 강풍 관측설계와 예비 관측결과
대기
2021 .11
Combined effect of topography and wind fields on precipitation in the yeongdong region: Idealized simulation experiments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8 .10
ESSAY(Experiment on Snow Storms At Yeongdong)-2015 캠페인동안 영동지역의 하층 대기 연직 구조 분석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5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