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Abstract
1. 서론
2. 자료 및 방법
3. 결과
4. 토의 및 요약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2020년 2월 8일 영동지역 강설 사례 시 관측과 수치모의 된 바람 분석
대기
2021 .11
ICE-POP 2018: A case study of heavy snowfall with thunder and lightning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8 .10
Ground Validation for snowfall using GPM instruments and Ground radar composites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7 .10
겨울철 ESSAY (Experiment on Snow Storms At Yeongdong) 기간 동안 수증기량과 강수량의 연관성 분석
대기
2016 .03
최근 5년간 강원 영동지역의 대설과 관련된 기상요소의 변화 특성
한국기후변화학회지
2019 .09
2014년 대설관측실험(Experiment on Snow Storms At Yeongdong: ESSAY)기간 강설 및 눈결정 특성분석
대기
2015 .06
Preliminary Result on Radar Snowfall Estimation of Operational S-band Weather Radar By Blending with Surface Observation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7 .10
Dynamical response of atmospheric circulation to below-normal East Sea sea surface temperatures associated with heavy snowfall in eastern Korea
극지연구소 초록집
2021 .08
2010년 대기오염측정망에서 2개 대기오염물질(PM10, NO2)과 교통 관련 변수 간의 연관성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8 .10
영동 지역 한기 축적과 강설의 연관성 분석
대기
2021 .11
Improving model precipitation forecast using ICE-POP 2018 observation data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3 .11
도로 제설 시나리오별 소요 제설장비 및 차량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2017 .06
강설특성과 강설시간을 고려한 강설지역의 유형 구분에 관한 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2020 .01
Investigating the Diversity of Bacterial Community and Chemical Component of the Fresh Snowfall at Daejeon, Republic of Korea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1 .10
교통오염원으로부터 거리별 초미세먼지(PM2.5) 및 블랙카본 농도의 연관성에 관한 평가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5 .11
도로이동오염원의 활동도와 도로변 질소산화물 농도의 관계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2016 .02
Suppression of Arctic sea ice growth in the Eurasian-Pacific Seas by winter clouds and snowfall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2 .10
지형에 따른 강원지역의 강설입자 크기 분포 특성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019 .01
Air Quality Modelling and Sustainable Urban Traffic Management Strategies for Kuala Lumpur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1 .10
0